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위안부 재단 출범 ①] 말 많던 화해ㆍ치유재단 가동…순항할까
[헤럴드경제=신소연 기자] 그간 논란이 됐던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지원을 위한 ‘화해ㆍ치유재단’이 28일 공식 출범했다.

화해ㆍ치유재단은 이날 서울 순화동 소재 재단 사무실에서 제1차 재단 이사회를 열고, 재단 출범을 공식적으로 알리는 현판식을 개최했다. 이는 지난해 12월 위안부 피해자를 지원하기로 한 한ㆍ일 정부 합의 이후 7개월, 설립준비위원회가 꾸려진 후 2개월 만이다.

이 재단은 일본 정부가 정부 예산으로 출연한 10억엔(약 108억원)을 기반으로,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들 마음의 상처를 치유하고자 설립된 여성가족부 등록 비영리 단체다.

재단 이사장은 설립준비위원장을 맡았던 김태현 성신여대 명예교수가 맡았고, 이사진은 준비위원 10인이 그대로 이사로서 이름을 올렸다. 재단 이사는 김 이사장을 포함해 ▷김교식 아시아신탁 회장 ▷진창수 세종연구소장 ▷심규선 동아일보 대기자▷이원덕 국민대 교수 ▷이은경 법무법인 산지 대표 ▷김재련 법무법인 온세상 대표 ▷조희용 국립외교원 일본연구센터소장 ▷정병원 외교부 동북아국장 ▷이정심 여가부 권익증진국장 등이다.

이처럼 준비위가 재단 설립을 서두른 것은 피해자들의 고령과 병환 등으로 이들을 지원할 시간이 많지 않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피해자의 평균 연령 89.6세다. 실제로 재단설립 근거가 된 한ㆍ일 합의 이후에도 6명이 별세해 현재 생존자는 40명으로 줄어든 상태다.


정부와 재단 준비위는 재단 설립 및 사업 결정에 가장 중요한 것은 ‘피해 당자사들의 의사’라는 원칙 하에 피해자 및 그들의 가족을 만나 의견 수렴을 한 것으로 전해졌다. 정부는 올 초 두 차례에 걸려 피해자 할머니들의 의견을 들었으며, 김 이사장도 지난 6월부터 국내 거주 피해자들과 만나 재단 설립 취지를 설명하고, 참여 여부를 청취한 것으로 알려졌다.

재단은 피해자에게 현금을 지급하는 직접 지원사업과 기념사업이나 추모사업 등의 상징사업 등을 모두 진행할 계획이다.

재단 관계자는 “한일 양국 정부의 합의 내용을 바탕으로 피해자의 의견을 충분히 수렴해 사업을 진행할 예정”이라며 “피해자의 명예와 존엄이 회복되고 마음의 상처가 치유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carrier@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