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신안 보물선서 건진 동전·청자…650년 만에 관람객을 만나다
국립중앙박물관 ‘신안해저선에서…’ 특별전


1975년 8월 전남 신안 증도 앞바다에서는 한 어부의 그물에 청자꽃병 등 도자기 6점이 걸려 갑판 위로 올라온다. 어부는 초등학교 교사인 동생에게 도자기들을 보여줬고, 동생은 이듬해인 1976년 ‘청자꽃병’ 한 점을 신안군청에 신고했다.

그 도자기는 놀랍게도 원(元ㆍ1271-1368)나라 때 용천요(龍泉窯)라는 가마에서 만든 청자였다. 이어 나머지 5점도 신고됐다. 650여 년이 지났지만 잘 보존된 원대 도자기의 존재가 알려지며 국내외로부터 큰 주목을 받았다. 보물섬 소식에 신안 앞바다에는 수영을 배운 도굴꾼들이 몰리기 시작한다.

국립중앙박물관의 신안 해저선 발굴 40주년 기념 특별전‘ 신안해저선에서 찾아낸 것들’에서는 유물 2만여 점과 동전 1톤 상당의 문화재를 볼수 있다. 사진은 특별전에전시된 유물일부. [사진제공=국립중앙박물관]

문화재관리국(지금의 문화재청)은 이들에게 철퇴를 내리고 1976년 10월 27일에야 본격적인 발굴을 시작했다. 1984년까지 9년여 동안 11차례에 걸쳐 배와 함께 실려 있었던 각종 물품 2만 4000여 점과 동전 28톤 상당의 문화재를 발굴했다.

유물의 대부분은 송-원나라 시대 중국에서 제작된 것들이고 고려청자 10여점도 섞여 있었다. 전문가들은 물표(物票)에 일본 하주(荷主)들의 이름이 적혀 있는 점을 들어 이 배가 중국에서 물건을 싣고 일본으로 향하던 무역선으로 추정하기도 했다.

신안해저선의 발굴은 우리나라 수중고고학의 효시, 수중문화재 조사의 밑바탕이 됐다. 발굴된 문화재들은 14세기 동아시아의 경제-문화적 교류 등을 보여주는 귀중한 자료이다. 바닷물 속에 잠겨 있다가 타임캡슐처럼 650여 년 만에 나타난 신안해저선은 많은 과제를 던져준다.

한중일 3국은 당시 어떻게 교류했을까? 그 배는 왜 침몰했을까?

우리나라 서해, 남해안은 뻘층이기 때문에 유물의 보존상태가 좋다. 풍랑으로 전복됐을 가능성이 높은 가운데, ‘위장침몰에 의한 배달사고’, ‘조공을 거부한 의인의 고의침몰’ 등 소설같은 얘기마저 회자되고 있어 궁금증을 더한다.

국립중앙박물관(관장 이영훈)은 신안 해저선 발굴 40주년을 맞아 오는 9월4일까지 ‘신안해저선에서 찾아낸 것들’이라는 특별전을 연다. 보물섬의 베일이 한 꺼풀 더 벗겨지는 것이다.

지금까지 공개된 것은 2만4000여점 중 1000여점에 불과했지만, 이번에 웬만한 것은 모두 공개한다. 유물 2만여 점과 동전 1톤이다.

특별전 제1부 ‘신안해저선의 문화기호 읽기’에서는 복고풍의 그릇들과 차(茶), 향, 꽃꽂이 등과 관련된 완상품들을 소개한다. 당시 동아시아에서 유행한 중국적 취향과 그에 따른 일본 상류층이 선호했던 문화생활을 살펴보고, 고려에 있었던 비슷한 문화적 취향에 대해서도 알아본다.

제2부 ‘14세기 최대의 무역선’에서는 신안해저선이 닻을 올렸던 중국 저장성의 닝보항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교역 활동을 소개한다. 제3부 ‘보물창고가 열리다’는 으뜸 전시공간으로서 신안해저선에 실렸던 ‘화물’들을 생생하게 실감할 수 있도록 도자기, 동전, 자단목, 금속품 및 향신료 등을 ‘큰 덩어리’로 소개한다. 일부는 당시의 발굴 상황 등을 재현해 전시한다. 신안해저선의 실체와 함께 중세 동아시아의 문화교류 양상을 보여주고자 한다.

오는 9월2일에 있을 국제학술심포지엄에서는 신안 유물을 근거로 새로운 학설이 나올지도 모르겠다. 중앙박물관 전시가 끝나면, 신안 인근 국립광주박물관에서도 전시 내용과 수량을 조정해 오는 10월25일부터 내년 1월까지 전시한다.

함영훈 기자/abc@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