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집권여당 ‘비상’에도 ‘대책’ 없는 비대위의 침묵
[헤럴드경제=유은수 기자] 새누리당 혁신비상대책위원회가 최근 뜨거운 정치 현안에 대한 침묵을 이어가고 있다. 친박 실세들의 공천 개입 의혹과 우병우 청와대 민정수석 논란, 고위공직자비리수사처(이하 공수처) 신설 등 당 안팎으로 악재와 현안이 즐비한데 극도로 말을 아끼고 있는 것이다.
[사진=김희옥 새누리당 혁신비상대책위원장이 서울 여의도 새누리당사에서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박해묵 기자/mook@heraldcorp.com]

새누리당은 최근 친박계 윤상현ㆍ최경환 의원과 현기환 전 청와대 정무수석이 예비후보에게 “청와대의 뜻”을 운운하며 지역구를 옮기라고 강권한 녹취록이 공개되어 내홍을 겪었다. 또 우병우 청와대 민정수석의 비위 의혹도 날이 갈수록 꼬리에 꼬리를 물고 증폭되는 양상이다.

김희옥 비대위원장은 녹취록과 관련 20일 회의에서 “이유와 배경을 떠나 최고의 도덕성을 발휘해야 할 집권여당 내에서 있어서는 안될 일이 일어난 데 유감을 표명한다”며 “이번 상황을 예의주시하면서 원칙에 따라 대처할 것”이라고 말했다. 우 수석 의혹에 대해선 21일 “많은 국민이 최근 정부와 여당의 몇몇 상황에 대해 큰 우려를 표하고 있다, 화합하고 전진하는 것만이 살 길”이라고 말한 것이 다였다.

원론적인 입장을 제외하고 집권여당의 지도부로서 실질적인 조치를 하려는 움직임은 보이지 않는다. 비대위는 연이틀 이어진 회의에서 녹취록 당사자에 대해 당 차원의 진상규명이나 징계를 실시할지 여부조차 논의하지 않았고, 22일엔 지도부 공식 회의가 전무했다.

당연직 비대위원인 정진석 원내대표가 녹취록 사건을 두고 “뒤늦게 책임공방을 벌일 때가 아니다, (녹취록 당사자에 대한) 징계는 없다”, 우 수석에 대해 “국회 운영위원회 불출석을 양해해주기 어렵다”고 한 발언에서 당 지도부의 심중을 읽을 수 있을 따름이다.

이는 당권 주자들이 비박계를 중심으로 선명한 입장을 내놓고 있는 것과 대비되는 모습이다. 당 대표 후보인 김용태 의원은 공천 개입 의혹 녹취록에 대해 당 차원의 진상규명은 물론 검찰 수사 의뢰가 필요하다고 주장하고, 정병국 의원은 우 수석이 자진 사퇴해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8ㆍ9 전당대회가 불과 3주 앞으로 다가오며 ‘미래 권력’의 입에 관심이 쏠리는 것은 당연하지만, 현재 집권여당을 대표하는 유일한 공식기구인 비대위가 현안을 등한시하는 태도는 적절치 않다는 지적이 당 안팎에서 나온다.

비대위의 침묵과 구성과 성격의 한계에서 비롯된다는 분석도 있다. 김 위원장과 5명의 외부위원들이 하루 아침에 상황이 돌변하는 정치 현안에 대응하는 데 익숙하지 않은 ‘정치 초보’인 데다 당연직을 제외한 당내 비대위원인 김영우ㆍ이학재 의원은 현안에 홀로 목소리를 높이기엔 각각 ‘비박ㆍ친박을 대변한다’는 눈길이 부담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또 비상대책위원회로서 혁신위원회를 겸한다는 명칭과 다르게 태생부터 전당대회 준비를 위한 비대위였다는 점도 무기력의 원인으로 지목된다. 한 외부 비대위원은 헤럴드경제와 통화에서 “비대위가 탈당파 복당 처리, 전당대회 룰 확정 등 고지를 넘어 이제 분위기가 뜨겁지 않다”고 말했다. ‘준비형 비대위’의 성격상, 전당대회가 다가오고 당권주자들이 득세할 수록 힘을 잃을 수밖에 없는 셈이다.

이런 가운데 김 위원장과 외부 비대위원들이 최근 외부 일정으로 태릉선수촌과 쪽방촌을 방문하고 경제 정책 세미나를 활발히 개최하는 행보에 대해서 “한가해 보인다”는 지적이 일각에서 나온다. 일정의 취지는 나쁘지 않지만 당이 거듭되는 악재로 위기에 처한 상황에서 당의 방향을 정해야 할 대표자로서 고민이 부족해보인다는 이야기다.

이를 두고 한 여권 관계자는 “어차피 임시 지도부의 한계를 알고 있었던 것 아니냐”면서 “빨리 전대에서 새 지도부가 구성돼야 새로운 활력을 창출할 수 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ye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