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도미니크 맥킨지 회장 “한국 기업 더 빨리 변화해야”
[헤럴드경제=윤재섭 기자]세계적인 컨설팅 회사인 맥킨지의 도미니크 바튼 글로벌 회장은 20일 ”한국 기업들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초반에는 잘 적응했지만, 지금은 그렇지 못하다”며 ”더 빨리 변화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바튼 회장은 이날 제주 롯데호텔에서 열린 제41회 대한상의 제주포럼 특별강연 이후 기자간담회에서 이같이 밝혔다.

그는 기자간담회에 앞서 가진 강연에서 한국 기업들의 매출 성장이 글로벌 금융위기 직전 12%에서 이후 2%로, EBIDTA(법인세ㆍ이자ㆍ감가상각비 차감 전 영업이익)는 9%에서 6%로, 부가가치 창출은 21%에서 2%로 현격히 감소했다고 지적했다.

바튼 회장은 ”한국 기업은 더 혁신할 수 있고, 국내총생산(GDP)이 지금 당장 2% 성장할 부분이 있다“면서 ”어떤 혁신 클러스터에 집중할 것인지 고민해야 한다. 차기 수출시장(아프리카, 실크로드)도 고민해봐야 한다“고 꼬집었다.

그는 한국 기업 중 가장 빠른 변화를 실행한 곳을 꼽아달라는 기자들의 요구에 두산과 아모레퍼시픽을 예로 들었다.

바튼 회장은 ”두산은 10년 전과 비교하면 근본적 변화를 일으킨 기업이고, 아모레퍼시픽도 큰 변화가 있었던 기업“이라고 말했다.

그는 ”한국 기업들은 훌륭한 역사를 갖고 있다. 삼성도 미곡상에서 출발해 큰 변화를 겪어왔다“고 덧붙였다.

바튼 회장은 ”해외기업 가운데 비즈니스 타입에 있어 가장 급진적으로 변화한 기업은 통신사인 스프린트“라고 주장했다.

한편 그는 미국 미디어의 양극화를 우려했다.

바튼 회장은 ”1990년대에는 미디어 스펙트럼이 좁았는데, 지난 10년간 스펙트럼이 양극단으로 치달았다. 지금은 미디어가 좌ㆍ우파로 나눠져 이제 미디어는 사람들이 듣고 싶어하는 말만 떠든다“고 지적했다.

그는 브렉시트(영국의 유럽연합 탈퇴)에 대해서도 ”세계가 완전히 다르다는 걸 보여줬다. 런던, 리버풀, 버밍엄이 완전히 달랐다. 국가가 갈라졌고, 이는 가진 자와 못 가진자의 문제는 아니다“고 말했다.

i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