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하반기 침체 예상 주택, 기존아파트, 연립ㆍ다세대順
[헤럴드경제 =한지숙 기자] 현직 공인중개사들은 하반기에 주택 매매와 전월세 가격이 모두 보합을 나타낼 것으로 본다는 설문조사가 나왔다.

한국감정원은 18일 전국 공인중개사 2439명에 대한 설문결과, 과반 이상(매매 55.1%, 전세 50.0%, 월세 63.3%)이 보합을 예상했다고 밝혔다.

감정원은 대내외 경제환경 변화와 정책변수로 주택 시장의 긍정, 부정 요인이 혼재해 이번 조사를 진행했다.

지역별로 보면 서울은 매매와 전세 모두 상승한다는 응답이 48%를 넘어 가장 많았다. 수도권은 매매와 전세가 보합이라는 응답이 각각 54%, 50%로 가장 많았다. 월세 가격이 하락할 것이란 응답율은 전국은 물론 서울 수도권에서도 상승 응답률의 2배였다.


매매가격 상승 전망의 주된 이유로는 금리인하로 수요증가(47%), 매매전환 수요증가(30.3%), 재개발ㆍ재건축 활성화 및 분양호조(13.3%) 순이었다.

신규공급물량 증가 부담(40.2%), 실물경기 침체(26.3%), 가격상승 기대저하(13.5%) 등이 매매가격 하락의 요인으로 꼽혔다.


매매가격 보합 전망의 주된 이유로는 경기 불확실성으로 인한 관망세(62%), 상승요인과 하락요인 혼재(21.8%) 등이었다.

하반기 주택시장에 미칠 가장 큰 영향 요인으로는 대출규제 및 정책규제 강화(26%), 국내 경제여건(18.4%), 대외경기변화(15.3%), 주택공급 물량(13.7%), 국내 기준금리 인하(11.0%) 순으로 응답율이 높게 나타났다.

하반기 호황이 예상되는 주택 유형은 신규분양 아파트(26.1%), 재건축ㆍ재개발(22.7%), 기존아파트(11.8%), 아파트 분양권(11.7%)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수도권은 재건축ㆍ재개발 단지(26.2%)를, 지방은 신규분양아파트(28.5%)를 가장 많이 꼽았다.

침체가 예상되는 주택유형으로는 기존 아파트(27.7%), 연립ㆍ다세대(13.9%) 순으로 나타났다. 기존아파트 침체 응답은 지방(35.0%)과 수도권(20.5%)에서 모두 가장 많았다.

jsha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