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공감제로(0)’ 정부…문제는 전자파가 아닌데
[헤럴드경제=김수한 기자] 박근혜 대통령은 지난달 23일 서울 시내 한 초등학교에서 본의 아니게 동심 파괴 논란의 주인공이 됐다. 대통령이 수박가방 만들기 수업에 참석한 한 어린이에게 한 질문이 화근이 됐다.

대통령이 “이거 만들어서 누구에게 선물하고 싶어요”라고 묻자, 어린이는 “엄마”라고 했고, 이에 대통령은 “엄마? 엄마가 좋아하실까? 이거 너무 쪼그매서”라고 말했다는 것.

또 수박가방에 다양한 색의 씨를 붙이는 어린이에게 “이건 수박씨 같지가 않은데?”라고 말해 다시 비슷한 논란을 지폈다. 결국 이를 계기로 당시 일부 언론은 대통령의 공감 능력과 소통 방식에 문제가 있는 것 아니냐는 의문을 제기하기까지 했다. 또 한 방송사는 논란이 된 영상을 홈페이지에서 삭제해 청와대가 이런 논란을 얼마나 불편해하고 있는지 추정케 했다.

황교안 총리와 한민구 국방부 장관이 지난 15일 경북 성주군청을 방문해 사드 관련 설명을 이어가는 도중에 물과 계란 등이 날아들고 있다. [출처= YTN 화면 캡쳐]

그런데 사드(THAAD,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논란에 대한 정부의 대응에 대해서도 공감 능력이 부족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사드 배치를 위해 설득에 나선 대통령, 총리, 국방부 장관 등이 모두 사드 레이더의 전자파가 인체에 무해하다는 설명에만 집착하고 있기 때문이다.

심지어 정부 내부에서도 이에 대해 지적하는 목소리가 나온다.

한 정부 관계자는 18일 “정부가 설득하려 노력하고 있지만, 전자파만 얘기해서 될 사안이 아닌데 지금 전자파 무해성 입증에만 열을 올리고 있는 것 같다”며 “지금은 성난 성주 주민들의 화를 풀어줘야 할 시점이 아닌가 싶다”고 말했다.

즉 전자파 유해성 논란은 물론, 부지 선정 과정에서의 소통 문제, 그리고 사드 배치로 경북 성주군민들이 입게 될 유무형의 재산상 피해(전국 참외 생산량의 70%를 생산하는 청정지역 성주의 이미지 훼손에 따른 매출 감소, 지역개발 제한 및 기존 부대 확장 가능성에 따른 재산권 피해 등)에 대한 보상 등 대화 채널의 주파수를 넓혀야 한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정부 차원에서 주민들이 수긍할 만한 ‘당근’을 선제적으로 제시하는 것이 사태 해결의 지름길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한 협상 전문가는 “정부가 사전 통보도 없이 일방적으로 기피시설 설치를 결정했으면 지역 주민이 수긍할 만한 지원대책 등 보상안도 사전에 패키지로 마련했어야 한다”며 “정부는 그런 준비를 전혀 하지 않은 것으로 보이고 앞으로 협상 과정에서 성주 주민들에게 ‘원하는 게 뭐냐’고 물을텐데 그 과정에서 주민들의 감정을 더욱 상하게 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라고 말했다.
 
sooha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
          연재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