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킹메이커의 ‘플랜B’는?…전대 후 독일행 예정 김종인
[헤럴드경제=김상수 기자]더불어민주당은 난감하고, 김종인 비대위 대표는 애매하다. 사드(THAAD,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를 계기로 또다시 불거진 ‘김종인 역할론’이다. 김 대표의 사드 입장을 두고 당내 거센 반발이 일었고, 결국 김 대표는 원내 지도부에 일임한 채 한발 물러섰다. 전당대회까지 남은 기간은 한 달 남짓. 당 대표로서의 역할론은 이미 마무리 수순이다. 사드 논란은 시한부 당 대표로의 한계를 재차 증명케 했다.

이제부턴 김 대표의 ‘플랜B’다. 김 대표는 수차례 ‘수권정당’을 최종 목표로 밝혀왔다. 당 대표가 아닌 김종인 ‘의원’은 어떤 ‘킹메이커’가 될 것인가. 전당대회 이후 윤곽이 드러날 전망이다. 


더민주가 조기 전당대회를 통해 비대위 체제 종료 시점을 정한 이후 김 대표의 역할은 당 관리 차원으로 사실상 규정됐다. 사드는 그 같은 현주소를 재차 확인한 계기가 됐다. ”실익 있는 사드 배치는 반대하지 않는다”는 김 대표의 공식 입장을 두고 “야당 대표는 국민을 대표해 재검토를 요구하는 용기를 보여줘야 하는데 아주 실망스럽다(안민석 의원)”, “사드 문제에 관한 본인 생각을 옳다고 생각한다면 참 낡은 생각이다(설훈 의원)” 등 당내에서도 공개 비판이 이어졌다. 논란이 커지자 김 대표는 우상호 원내대표에게 사드 당론 정리를 일임했다.

김 대표는 더민주로 구원등판하면서 ‘수권정당’을 명분이자 목표로 내세웠다. 총선승리나 경제민주화는 정권교체 과정의 일환일 뿐 그 자체가 목표는 아니다. 당 안팎에선 김 대표가 당 대표직에서 물러나 경제민주화를 이끄는 역할 만으로 만족할 리 없다는 예측이 나온다. 결국 어떤 식으로든 내년 대선에서 킹메이커 역할에 나설 것이란 전망이 지배적이다.

당 대표로선 종료시점이 임박했지만, 킹메이커로서의 활동은 오히려 박차를 가하는 분위기다. 김 대표는 이미 수차례 “대선에선 여러 후보가 경쟁하는 게 좋다”는 입장을 피력해왔다. 유력 야권 후보로 꼽히는 문재인 전 대표를 겨냥한 발언으로 해석됐다.

최근엔 박원순 서울시장, 안희정 충남지사, 손학규 전 더민주 상임고문, 남경필 경기도지사 등을 연이어 만났다. 야권은 물론 여권 잠룡까지도 접촉한 김 대표다.

전당대회 이후 김 대표는 장기간 독일에 머물 계획을 세웠다. 최대 2~3개월 머물 것으로 알려졌다. 차기 당 대표를 중심으로 더민주의 행보를 한발 물러서 지켜볼 시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 귀국 시점은 10~11월께로, 각 당의 전당대회 이후 본격적으로 대선 정국에 돌입할 시점과 맞물린다. 김 대표가 ‘킹메이커’로서 승부수를 던질 시기로 점쳐진다.

dlcw@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