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경기도,공공보건의료 강화..시행계획 발표
[헤럴드경제=박정규(수원)기자]경기도는 지역 간 균형 잡힌 공공의료체계 구축, 필수분야 보건의료서비스 적정공급 등 5개 분야 15개 실행과제를 담은 ‘공공보건의료 시행계획’을 13일 발표했다.

이번 시행계획은 보건복지부의 제1차 공공보건의료 기본계획(2016~2020)에 따라 수립된 것으로, 도가 보건의료 시행계획을 수립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우선 공공의료기관의 서비스 향상을 위해 지역 대학병원 의사 인력 유치를 추진하고, 공공의료원 소속 인력에 대한 교육훈련을 강화하기로 했다. 

대학병원 소속 의사는 올해 3명을 시작으로 연차적으로 수를 늘려 2018년에는 6명까지 늘린다는 목표이다. 현재 도내 공중보건의사는 276명으로 2015년 300명에서 24명이 감소한 상황이다.

두 번째로 필수분야 보건의료서비스의 적정 공급을 도모한다.

하반기부터 경기도의료원 6개 병원 336병상에서 간병인이나 가족 대신 간호사가 중심이 돼 간병과 간호서비스를 제공하는 ‘간호간병 통합서비스’를 제공한다. 기존에는 2개 병원 82병상에서 제공해왔다.

도는 이와 함께 현재 도내 40개 의료기관에서 제공하고 있는 간호간병 통합서비스 제공 의료기관을 올해 말까지 70개로 확대할 방침이다.

아울러 감염·재난·응급의료서비스를 강화하기 위해 감염병 차단 음압격리병상 확충, 권역외상센터, 권역응급의료센터 확충사업도 지속적으로 추진된다.

현재 경기도의료원이 보유한 12실 19병상의 감염병 격리병상을 오는 2018년까지 36실 107병상으로 확대한다. 국가지정 격리병상도 명지병원 5실 5병상, 분당서울대병원 9실 9병상이 확충된다.

세 번째로 취약계층에 대한 의료안전망을 강화한다.

도는 경기도의료원 본부에 보건의료복지 연계사업 추진을 위한 통합지원센터를 구축하고, 2018년까지 산하 6개 병원으로 서비스를 확대하기로 했다.

현재 경기도의료원 수원병원 등 전국 6개 병원에서 시범운영 중인 보건의료복지 연계사업(301네트워크사업)은 의료사각지대에 있는 취약계층을 발굴해 의료서비스와 함께 적절한 지역복지 자원을 연계해 보건·의료·복지서비스를 통합적으로 제공하는 시스템이다.

치매 관리체계도 촘촘해진다.

도는 올 하반기 내로 경기도광역치매센터, 도 노인전문병원, 시군보건소 간 치매 교육・정보 네트워크를 구축하기로 했다.

도 광역치매센터는 교육홍보체계를 구축하고 사업비를 지원한다. 6개 도 노인전문병원을 4개 권역으로 나눠 지역사회 치매전문인력 역량강화 교육과 치매인식 개선 공개강좌 등을 추진한다.

네 번째로 지속가능한 공공보건의료 정책 추진을 위해서 경기도 공공보건의료지원단을 설치하고, 공공병원 시설과 장비 현대화 사업도 지속적으로 추진하기로 했다.

올해 시설 현대화 사업은 도 의료원 파주병원 등 4개 병원 7개 시설에 52억 원, 장비는 5개 병원 87종 보강에 55억 원이 투입된다.

fob140@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