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수읽기 치열한 與 전대, 서청원 vs 정병국 한판승부?
徐 결심따라 양 계파 전대 계산법 달라져
친박 홍문종·원유철 徐등판시 불출마 가능성
비박 나경원 가세 정병국 중심 단일화 전망



서청원 의원의 친박(親박근혜)계 구원투수 등판 여부에 새누리당 전체가 신경을 곤두세우고 있다. 당장 비박(非박근혜)계 여장부인 나경원 의원이 “서 의원이 당 대표 경선에 출마하면 가만히 있지 않겠다”며 맞수를 자처하고 나섰다. 이미 두 명의 의원(김용태ㆍ정병국)이 전당대회 출사표를 던진 비박계다. 서 의원의 결정에 따라 ‘양자 단일화’와 ‘3자 단일화’의 계산법이 달라진다. 친박계 역시 서 의원의 거취에 따라 현재 3명인 당권 주자가 더욱 늘어날 수도, 단칼에 정리될 수도 있다. 8ㆍ9 전당대회가 단 29일 앞으로 다가온 11일, 서 의원의 ‘시그널’을 감지하려는 양 계파의 안테나가 더욱 높아지는 이유다.

이날 정치권에 따르면 친박계는 홍문종 의원의 행보를 서 의원의 당 대표 경선 출마 가능성을 감지하는 바로미터로 보고 있다. 홍 의원은 앞서 최경환 의원에게 당 대표 경선 출마 요구가 쏟아질 때도 긴밀히 연락을 취하며 의견을 조율했던 친박계의 핵심 인물이다. 최 의원의 ‘대타’로 서 의원이 지목된 지금, 홍 의원이 서 의원과 수시로 연락을 취하며 판세를 저울질하는 창구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것이다.

홍 의원은 실제 지난 10일로 예정됐던 당 대표 경선 출마선언을 돌연 미뤘다. “전당대회까지 남은 시간이 별로 없다”는 말과는 배치되는 행보다. 서 의원이 ‘절대 거부’에서 ‘깊은 고민’으로 태도를 바꾼 데 따른 숨 고르기로 풀이된다.

원유철 전 원내대표 역시 서 의원의 의중을 가늠할 지표로 분류된다. 친박계 맏형인 서 의원이 당 대표 경선에 나설 경우, 원 의원은 더 이상의 후보 난립을 막기 위해서라도 출사표를 꺼내지 않을 공산이 크다. 반면 서 의원이 불출마를 선택할 경우 홍 의원과 원 의원 모두가 나서 다른 후보들과 ‘정면 대결’을 벌일 것으로 전망된다. 친박계 후보만 총 5명이 난립하게 되는 것이다. 앞서 범(汎) 친박 성향의 이주영 의원과 진박(진실한 친박)으로 분류되는 이정현 의원, 원박(원조 친박) 한선교 의원은 당 대표 경선 출마를 선언하며 모두 “후보 단일화 없이 완주하겠다”는 의사를 밝혔다. 다만 원 의원과 홍 의원의 단일화는 배제할 수 없다.

비박계에서는 정병국 의원으로 당 안팎의 소통로가 모아지는 모습이다. 정 의원은 지난 10일 당 대표 경선 출마선언 직후 기자들과 만나 “김무성 전 대표와 만났는데 ‘총대를 메 달라’고 하더라”며 “오세훈 전 서울시장, 남경필 경기도시자, 원희룡 제주도지사 등 의논 모임 사람들과 다 논의를 하고 나왔다”고 했다. 정 의원은 또 “나 의원도 거기(의논 모임)에 들어와 있다”며 “서 의원의 (당권 접수를) 막아야 하니 본인이 출마하든, 내 경선 캠프의 본부장을 하든 하겠다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비박계의 단일대오 형성 작업이 자신을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음을 시사한 것이다. 또 다른 비박계 당권 주자인 김용태 의원 역시 “정 의원과 일정 시점에 단일화해 앞선 이에게 힘을 몰아주자고 했다”며 사실상 단일화 합의 성사를 선언한 바 있다.

정치권 한 관계자는 “친박계로서는 난립 후보 정리를 위한 물밑 접촉 시간을 벌기 위해서라도 서 의원의 결단을 재촉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며 “전당대회의 직접적 관계자인 홍 의원과 원 의원을 중심으로 친박계의 소통이 이뤄질 가능성이 크다”고 했다. 

이슬기 기자/yesyep@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