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소외계층 ‘행복지킴이’ 4년차 공무원 김효진 씨
발로 뛰며 복지사각지대 해소에 최선

부산시 맞춤형급여 1주년 숨은 공로자 포상



[헤럴드경제=윤정희(부산) 기자] 15년만에 전면 개편된 맞춤형 기초생활보장제도가 실시된지 1년. 복지소외계층을 위해 직접 현장을 발로 뛰며, 수급자 발굴에 최선을 다해온 공무원이 있어 귀감이 되고 있다.

주인공은 부산시가 실시한 ‘맞춤형급여 1주년 유공자 포상식’에서 유공공무원 8명중 한명으로 포상을 받은 사상구청 공무원 4년차 김효진 주무관(27세, 여, 사진). 7일 부산시와 사상구청에 따르면 김 주무관은 맞춤형 급여 신청 1836건에 대해 방문 및 전화조사를 통해 1590건을 선정하여 복지급여 지원 및 사각지대에 놓인 수급자를 발굴한 공로를 인정받아 대상자로 선정됐다.

김 주무관은 수급자 발굴 외에도 생활이 어렵지만 수급자로 선정되지 못한 72가구에 대해 특별한 관심을 쏟아왔다. 후원물품을 지원은 물론, 탈락사유에 대한 상세한 안내 및 재신청안내를 통해 대상자가 위험군으로 떨어지지 않도록 맞춤형 사례관리를 해온 것이다.

또한, 수급자로 선정된 간질장애인 등 복지소외계층 대상자에 대해 월 2~3회이상 정기적인 안부 확인 및 정서적 지원을 통한 사상구 행복지킴이로서의 역할을 묵묵히 수행해왔다.

사상구 맞춤형급여 대상자인 최모 씨는 “바뀐 기초생활보장제도로 인해 어려움이 있었지만, 구청의 관심과 도움으로 다행히 수급자로 지원을 받을 수 있게 됐다”면서 “숨은 곳에서 열심히 맡은 바 직무를 열심히 수행하는 김 주무관 같은 공무원들에게 감사한 마음을 전하고 싶다”고 밝혔다.

김 주무관은 “수급자가 되어서 고마워 하시는 분들도 있지만, 급여가 줄어들거나 중지되는 경우에는 안타까운 마음이 든다”면서 “아직까지도 새로운 제도를 어려워하는 분들이 많지만, 수급 대상자가 늘어나고 어려운 분들이 도움을 받을 수 있다는 것에 보람을 느끼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지난해 7월 1일부터 시행된 맞춤형 급여제도 운영 1년이 지난 2016년 6월말까지 부산지역 전체 수급자 수는 15만2054명으로 개편 전인 2015년 6월말 12만5681명에 비해 21%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같은 성과는 맞춤형 급여 개편과 함께 홍보를 강화하고, 민ㆍ관 합동 사각지대 발굴 등을 집중 추진한 결과로, 부양의무자 소득기준을 대폭 완화하고 생계, 의료, 주거, 교육 등 급여별로 선정기준을 확대하는 등 맞춤형 급여 도입 효과가 수급자 규모 확대를 통해 실제 저소득층 보호로 직결된 것으로 부산시는 평가했다.

이병진 부산시 사회복지국장은 “15년만에 전면 개편된 맞춤형 기초생활보장제도가 성공적으로 정착할 수 있었던 데는 읍면동 일선에서 밤낮없이 열심히 뛰어준 직원들의 숨은 노고 덕분이다”면서, “앞으로도 주변의 어려운 이웃을 보다 적극적으로 찾아내고 필요한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민·관이 한마음으로 최선을 다하겠다”고 전했다.

cgnhe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