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공정위 SKTㆍCJH 합병 불허결정] SKT 후속대책 검토 vs KT 등 전원회의 결과 주시
[헤럴드경제=권도경 기자] 공정거래위원회가 SK텔레콤의 CJ헬로비전 인수합병(M&A)을 불허한 가운데 SK텔레콤은 당혹감을 드러낸채 후속 대책 마련에 나섰다. SK텔레콤과 CJ헬로비전은 이르면 20일 열릴 전원회의에 제출할 소명자료 준비하는데 집중하겠다는 방침이다. 합병 반대진영인 KT와 LG 유플러스는 말을 아낀 채 전원회의 최종결과를 예의주시하겠다는 입장이다.

5일 업계에 따르면 공정위는 전날 발송한 SK텔레콤-CJ헬로비전 M&A심사보고서에서 경쟁제한을 이유로 주식 취득 및 합병금지 명령을 내렸다. SK텔레콤의 CJ헬로비전의 M&A 방안을 불허한 것이다. 공정위가 기업 M&A를 불허한 것은 매우 이례적이다.

공정위는 SK텔레콤과 CJ헬로비전 합병법인의 방송이 23개 권역 중 21곳에서 1위가 돼 시장 지배적 지위가 형성, 강화된다고 판단했다. 


SK텔레콤은 20일께 열리는 공정위 전원회의 전까지 소명자료를 준비해 의견을 제출해야 한다. 지난 11월 CJ헬로비전을 인수해 SK브로드밴드와 합병한다는 M&A 구상을 발표한 후 7개월간 심사 결과를 기다려온 SK텔레콤은 당혹감이 역력하다.

SK텔레콤은 이날 공식입장자료를 내고 “공정위 결정을 매우 충격적으로 받아들이고 있으며, 인수합병 이후 대규모 콘텐츠, 네트워크 투자 등을 통해 유료방송 시장 도약에 일조하고자 했던 계획이 좌절된 것에 대해 깊은 유감을 표한다”고 밝혔다. 이어 “공정위로부터 전달받은 심사보고서를 면밀히 검토중이며, 여러가지 후속 대책을 고민 중”이라고 덧붙였다.

공정위 사무처가 내린 불허 결정을 뒤집지 못할 경우 글로벌 수준의 미디어 플랫폼 사업자로 거듭나겠다는 SK텔레콤의 구상은 일단 실패로 돌아가게 된다.

M&A에 반대 입장을 견지해 온 KT와 LG유플러스는 말을 아꼈다. 원하던 결과가 나왔으나 아직 최종결과가 아닌만큼 전원회의 방향성을 지켜보겠다는 입장이다.

KT 관계자는 “직접 공정위 심사보고서를 받은게 아닌만큼 공식 입장을 낼 상황은 아니다”라면서 “ 최종결론이 아닌만큼 전원회의 결과를 지켜봐야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한편, SK텔레콤은 최악의 경우 행정소송 등 법적 대응 가능성도 열어두고 있다. 공정위의 결정이 시장경쟁에 역행하고 유선방송 시장의 구조조정을 방해하는 처사라는게 SK텔레콤 내부 입장이다.

/ kong@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