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중소기업 절반 “작년보다 경영상황 어렵다”
[헤럴드경제=정진영 기자] 중소기업의 절반가량은 지난해보다 경영상황이 어렵다고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기업중앙회 전 임직원이 지난 4월 21일부터 5월 31일까지 중소기업 현장을 직접 방문해 경기 등 실물동향을 점검했다. 점검 결과, 1년 전에 비해 경영상황이 악화됐다는 중소기업이 47.5%에 달한 반면, 개선됐다는 기업은 28.9%에 그친 것으로 조사됐다.

현재의 경영상황 악화가 얼마나 계속될 것 같은가를 물어본 결과 ‘2년(36.5%)’과 ‘3년(27.8%)’이라는 기업이 64.3%로, 상당수의 중소기업들이 현재의 경영상 어려움이 단기간에 쉽게 해소되지 않을 것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경영 악화로 인한 위기극복을 위해 기업들은 ‘신규고객 확보 등 시장 개척(67%, 복수응답)’, ‘제품 및 서비스 고도화(46.4%)’, ‘원가 및 비용절감(34.8%)’ 등 적극적이면서도 장기적인 위기대응 대책을 세우고 있었다. 향후 1년 이내 투자할 의향이 있다는 기업이 73.6%에 달했으며, 인력을 채용할 의향이 있다는 기업도 81.5%나 됐다. 수출이 전혀 없는 내수기업들에게 향후 수출여부를 물어본 결과, 51.3%의 기업들이 향후 해외시장에 수출을 희망하고 있었다.

금융기관의 중소기업에 대한 대출 태도를 묻는 질문에는 1년 전에 비해 ‘엄격해졌다’는 응답은 40.2%였으나, ‘유연해졌다’는 응답은 9.2%에 불과했다. 금융기관의 대출옥죄기로 인한 우량 중소기업의 피해가 우려되는 부분이다.

기업들은 수출 및 수출전환 추진 시 가장 필요한 정책으로 ‘시장조사, 바이어 발굴 등 1대 1 맞춤형 지원(41.4%, 복수응답)’을 가장 많이 꼽았고 뒤 이어 ‘수출초기기업에 대한 수출자금 지원우대(36.4%)’, ‘해외전시회, 시장개척단 참여기회 확대(33.6%)’, ‘해외 규격인증 획득 지원확대(29.1%)’ 등의 순이었다.

기업들은 현장에 바라는 경제활력 회복을 위한 정부의 최우선 과제로 ‘중소, 중견기업 육성(68.6%, 복수응답)’을 꼽았고 ‘신속한 산업구조 조정(33.3%)’, ‘신성장산업 발굴(31.8%)’, ‘내수부양(30.7%)’ 등의 응답이 뒤를 이었다. 이처럼 중소ㆍ 중견기업 육성을 정부의 최우선 경제활력 과제로 꼽은 것은 그동안 대기업 중심의 경제운용의 한계와 저성장구조 탈피를 위해 새로운 경제주체로서 정책전환이 필요하다는 현장인식이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유영호 중기중앙회 산업지원본부장은 “임직원들이 직접 현장의 실물동향을 점검해 본 결과 중소기업의 경영상황이 매우 좋지 않은 것으로 조사됐다”며 “정부의 적극적인 내수부양과 최근의 브렉시트 영향이 국내 실물경제로 전이되지 않도록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정진영 기자/123@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