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개혁특위 구성 관행 개선 앞장…반쪽짜리 인사청문회 아쉬워”
-평의원으로 돌아가는 최웅식 서울시의회 운영위원장

-추락한 의회 도덕성ㆍ신뢰도 회복 위해 사력 다해

-시의회ㆍ서울시 간 인사청문회 협약 체결…영향력 확대

-시민 정책토론회 도입…“산더미처럼 쌓인 숙제 마무리한 느낌”



[헤럴드경제=이원율 기자] 최웅식(더불어민주당ㆍ사진) 서울시의회 운영위원장은 29일 제9대 의회 전반기 종료를 앞두고 “전대미문의 의회 도덕성 상실, 신뢰도 추락 문제를 푸는 게 최우선이었다”며 회포를 풀었다.

최 위원장은 임기 성과로 개혁특위를 먼저 꼽았다. 그는 2014년 7월 의회 개원과 함께 개혁특위를 구성했던 이유를 두고 “이번 기회를 통해 의회의 잘못된 관행들을 발굴ㆍ개선하고 싶었기 때문”이라고 했다.

최웅식 서울시의회 운영위원장은 개혁특위 구성과 인사청문회 도입 등을 주요 성과로 꼽았다. 최 위원장은 “2년간 쉬지 않고 일했다”며 “산더미처럼 쌓인 숙제를 어느정도 풀어나간 느낌”이라고 했다.

실제 개혁특위는 4차례 전체회의와 17차례 소위원회 회의를 통해 과제별 세부 개혁방안을 논의했다. 6개월 동안 내놓은 정책 대안만 조례 제ㆍ개정 발의안 18건, 관계기관 건의안 송부 7건, 의회 운영개선 제안 11건 등 33건에 달한다.

최 위원장은 “2014년 1월엔 불미스러운 형사사건으로 구속된 현직 의원의 의정 활동비도 지급 중단했다”며 “투명하고 깨끗한 청렴 의회 실현을 개혁의 모토로 뒀기 때문”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시의회ㆍ서울시 간 인사청문회 실시 협약을 체결한 일 또한 의미있는 성과로 소개했다. 지방 의회차원에서 인사 청문회 필요성은 고질적으로 제기된 문제였지만 지금껏 많은 시, 도들이 도입에 실패해왔다. 법령상 근거가 약했기 때문이다.

최 위원장은 청문회 도입을 위해 “행자부에 지방의회 인사청문회 도입 건의안을 제출하는 등 정부, 국회 상대로 설득을 멈추지 않았다”며 “서울시와는 따로 협약을 추진해 투트랙 전략으로 이끌어갔다”고 설명했다. 그 결과 지난해 8월 서울시장이 서울메트로 등 5개 공기업의 장을 임명하기 전엔 시의회 인사청문회를 거쳐야 한다는 합의를 끌어낼 수 있었다.

시민 의견을 폭넓게 듣기 위한 정책토론회 도입도 최 위원장의 야심작이었다. 그는 민생과 직결되는 현안이라면 중요조례안 주제 여부에 상관없이 토론회가 개최될 수 있도록 했다.

최 위원장은 “지난해 9월 관련한 회의규칙을 정한 후 6월까지만 18건의 개최 실적을 올렸다”며 “올해엔 1억원 예산을 확보해 시민과 전문가 등 다양한 목소리가 의정활동에 반영될 수 있도록 노력했다”고 말했다.

최 위원장은 전반기 활동 성과에 대해 “2년간 쉬지 않고 산더미처럼 쌓여있던 숙제를 풀어나간 느낌”이라며 “이제 숙제가 어느정도 마무리된 시점이니 나머지 과제는 후임 운영위원장이 현명히 해결할 것으로 믿는다”고 털어놨다.

yul@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