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상반기 서울 아파트값 전국 평균보다 3배 더 올랐다
[헤럴드경제 =한지숙 기자] 올 상반기 서울과 수도권의 아파트 매매가격이 지방과의 격차를 더 벌렸다.

KB국민은행이 29일 발표한 전국 주택매매 및 전세시장 동향 조사에서 올 상반기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은 0.37% 올라 완만한 상승세를 띠었다. 6월에는 전월 대비 0.09% 올라, 5월 상승률(0.07%) 보다 상승폭을 키웠다.

상반기 서울은 1.13% 올라, 전국 평균 상승률의 3배 가량 웃돌았다. 수도권은 0.79% 상승해 전국 평균 대비 2배 높았다. 


반면 지방 5대 광역시는 0.07% 상승에 그쳐 전국 평균을 크게 밑돌았다. 특히 3월들어 -0.02%로 하락한 뒤 4개월 연속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에선 강남구(1.38%), 서초구(1.69%), 송파구(1.32%) 등 강남3구가 상승세를 주도했다. 마포구(1.90%), 서대문구(1.50%), 동대문구(1.30%) 등의 상승률이 서울 평균을 웃돌았다.

경기지역은 재건축이 진행 중인 과천이 2.18% 뛰어 상승폭이 두드러졌다. 의왕(1.53%), 양주(1.43%)는 경기지역 평균(0.55%)의 3배에 육박했다.

지방 5대 광역시도 차별화가 진행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부산(1.19%), 울산(0.94%), 광주(0.01%)는 상승, 대구(-1.70%), 대전(-0.03%)은 하락했다.

국민은행 관계자는 “2016년 상반기의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은 서울ㆍ수도권을

중심으로 상승했으며, 서울의 경우 강남(1.25%)과 강북(1.00%) 지역 모두에서 상승세로 나타났다” 고 정리했다.

6월 ‘KB부동산 전망지수’는 전국 기준으로 지난달(94.9) 보다 5.5포인트 상승한 100.4를 기록했다. 이 지수가 100 이상으로 오른 것은 2015년 10월(114.7) 이후 8개월만에 처음이다.

‘KB부동산 전망지수’는 KB국민은행 시세조사 공인중개사의 3개월 이후 아파트 가격 변화 예상치를 토대로 작성한 것으로 아파트시장 현장 경기를 체감하는 지표다. 100을 초과할수록 상승세를 전망하는 공인중개사가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지역별로 서울은 지난달 (107.0) 대비 10.9포인트 상승한 117.9으로 나타났다. 수도권도 지난달 (102.4) 대비 7.9포인트 상승한 110.3였다. 지방 5개 광역시의 경우 지난달(85.0)에서 이달 89.8로 소폭 상승에 그치며 100이하로 나타났다. 대구(67.0)와 경북(62.0) 지역은 100에 크게 미달하며 하락 전망으로 조사됐다.

국민은행 관계자는 “여름철 비수기로 접어들었으나 재건축 사업추진이 활발해 지고 기준금리 인하에 힘입어 재건축 진행 단지는 물론 예정 단지에 대한 기대 및 투자심리가 긍정적으로 작용하고 있으나, 세계 경제 전망의 불확실성과 정부의 분양시장 과열에 대한 우려 등으로 주택시장에 관망세의 증가가 예상된다”고 말했다.

jsha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