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브렉시트 현실화]“단기영향 제한적이나 장기적으로 불확실성 키울 듯”…브렉시트 재계 반응
[헤럴드경제=윤재섭 기자]24일 브렉시트(영국의 EU 탈퇴)가 현실화된 것에 대해 재계는 장기적으로 세계 경기의 불확실성이 증대돼 우리 경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것을 우려했다.

송원근 전국경제인연합회 경제본부장은 “영국, 유럽연합(EU) 뿐만 아니라 세계 증시와 환율이 요동치고, 국내 금융시장도 단기적으로 외국인 자금유출, 환율 급등과 같은 충격이 예상된다”고 전망했다.

송 본부장은 “실물경제 측면에서 유로존과의 교역규모가 크지 않아 직접적 영향은 제한적이겠지만 장기적으로 EU체제 유지 문제까지 번질 경우 세계경기에 대한 불확실성이 증대돼 국내 경제에 영향이 클 것으로 우려된다”고 밝혔다.

그는 “정부는 브렉시트에 따른 국내외 금융ㆍ외환 시장 변동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우리기업, 정부, 국회 모두 국내 경제에 미치는 타격을 최소화하기 위한 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대한상공회의소도 “영국의 브렉시트로 인한 영향은 제한적이겠지만 영국의 EU 탈퇴가 EU 해체 논의의 시발탄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한국에 악재로 작용할 수 있다”고 평가했다.

대한상의는 “자유무역주의 시대에 신중상주의가 도래하는 게 아니냐는 우려가 전문가들 사이에 있다”며 “장기적인 관점에서 상황을 예의주시할 필요가 있다”고

내다봤다. 이어 “영국이 EU를 탈퇴할 경우 자유무역협정(FTA) 협상도 다시 맺어야 하는데 이를 유예기간 2년 안에 하기엔 현실적으로 무리여서 기업들에 어려움이 따를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무역협회도 이날 논평을 통해 우려를 표했다.

무역협회는 “세계적인 저성장 기조와 보호무역주의가 확산되는 가운데 영국이 EU 탈퇴를 결정함으로써 세계무역 회복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고 논평한 뒤 “브렉시트 가결로 유럽과 세계경제는 여태까지 경험해 보지 못한 새로운 도전에 직면하게 됐다”고 진단했다.

협회는 “영국의 탈퇴를 막지 못한 EU집행위원회에 대한 실망과 하나의 유럽에 대한 신뢰 상실로 ‘EU의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은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되며 우리나라의 대(對) 영국 수출뿐만 아니라 유럽국가들에 대한 수출과 투자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우려된다”고 밝혔다.

협회는 또 “영국의 EU 탈퇴가 세계적인 고립주의와 보호무역주의 확산으로 이어지지 않도록 국제적인 공조 노력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면서 “우리 정부도 브렉시트가 우리 경제에 미칠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만반의 노력을 기울이는 한편 향후 영국의 EU 탈퇴 협상이 진행되는 동안 영국과의 새로운 자유무역협정 체결을 서둘러야 한다”고 밝혔다.

협회는 이어 “대 EU, 대 영국 수출전략을 비롯한 경제협력 전략을 원점에서 부터 재검토할 필요가 있다”면서 “협회는 정부의 위기대응 노력에 적극 협력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i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