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조선업, 해양플랜트 인도연기 속출 우려 재부각
[헤럴드경제=홍석희 기자] 저유가로 인한 해양플랜트 인도 지연 우려가 재부각 되고 있다. 선주측의 인도 연기 요구가 어제 오늘 일은 아니지만 구조조정이 한참 진행중인 상황에서 불거지는 인도 지연 ‘돌발 상황’은 조선사들을 심각한 유동성 위기 상황에 직면케 할 수 있다.

22일 조선업계에 따르면 앙골라 국영석유회사 소난골은 대우조선해양에 발주한 드릴십 2기를 당초 6월말 인도 받을 계획이었다. 그러나 인도 날짜가 다가왔음에도 여전히 인도를 위해 필요한 잔금을 마련치 못한 것으로 확인됐다. 조선업계 관계자는 “제품을 받아가려면 잔금을 치러야 하는데, 소난골은 여전히 자금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특히 드릴십은 인도 시점에서 선박 건조 대금의 60%를 받는 ‘헤비테일’ 방식으로 계약돼 있어 인도 연기에 따른 대우조선의 피해는 천문학적이다. 소난골이 인도를 지연하겠다고 밝혀올 경우 당장 1조원 가량의 매출 손실이 발생하는 것으로 전해진다.
대우조선해양이 건조한 FLNG선.

대우조선이 올해말까지 인도 예정인 해양플랜트 등 설비는 모두 60억달러 어치가 넘는다. 이달말에는 11억달러 규모의 고정식 원유생산설비 1기가 유럽지역 선주에게 인도될 예정이고, 20억달러 규모의 FPSO 1기도 9월말 인도가 예정돼 있다. 최근 유가가 50달러를 넘어서면서 원유 시장에 다소간 온기가 돌고 있지만, 급격한 유가 상승을 기대키 어려운 상황이라 조선업계에까지 온기가 미치지는 못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대우조선 정성립 사장이 최근 직원들을 만난 자리에서 ‘법정관리’를 언급한 것도 녹록치 않은 회사 상황에 대한 경각심을 높이기 위한 차원으로 해석된다. 대우조선 관계자는 “그리스에서 수주한 선박에대한 RG까 지난주에 발급돼 다음주 중으로 선수금이 들어올 예정이다. 8월말까지 대략 8000억원 가량이 들어온다”며 “우려할만한 수준은 전혀 아니다”고 말했다.


해양플랜트 비중이 높은 삼성중공업은 이미 인도가 완료된 2기 외에 27억 달러 규모의 해양가스처리설비(CPF)의 인도가 관건이다. 오는 9월 출항하는 이 설비의 최종 계약 종료 시점은 2018년 1월이다. 3조원이 넘는 대규모 사업인만큼 작은 차질도 상당한 회사 피해로 이어질 공산이 있다. 이 설비는 일호주 익시스 지역에 설치될 예정이다. 이외에도 삼성중공업은 지난 2011년 영국 셸로부터 수주한 FLNG를 내년 4월에 출항시킬 계획이고, 프랑스 토탈사와 계약한 FPSO도 내년 1분기에 출항이 예정돼 있다.

현대중공업은 올해 모두 3기의 해양플랜트를 인도할 계획이다. 오는 8월에는 아프리카 콩고 남서쪽 모호노르드 유전(Moho Nord Field)으로 가는 FPU(부유식 원유·가스 생산설비)가 출항할 예정이다. 또 동남아 고정식생산플랫폼 1기와 미주 고정식생산플랫폼 1기 등 모두 13억달러 규모의 해양플랜트 인도가 올해말까지 예정돼 있다. 

hong@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