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SKT, 중국 O2O 시장 본격 진출…합자법인 설립
- SKT, 국내 O2O 벤처기업 ‘원투씨엠’ㆍ중국 현지 투자 3사와 함께 중국 O2O 플랫폼 사업 위한 투자의향서(LOI) 체결
- 오는 8월, 5자 간 합자계약 체결… 연내 중국 베이징에 합자법인 설립 계획
- 향후 O2O 마케팅, 쿠폰 적립, 모바일 티켓, 결제 서비스 등 O2O 플랫폼 기반 다양한 사업 확대 추진




[헤럴드경제=이혜미 기자] SK텔레콤이 국내 O2O(Online to Offline) 벤처기업 및 중국 현지 전략적 투자자 3사와 함께 중국 O2O 시장 공략에 나섰다.

SK텔레콤(대표이사 사장 장동현)은 중국에서 O2O 플랫폼 사업을 추진할 합자법인을 설립하기 위해 원투씨엠 및 중국 현지 파트너사 3사와 함께 투자의향서(LOI)를 체결했다고 22일 밝혔다. 

(왼쪽부터) 이종호 SK텔레콤 글로벌사업추진본부장, 한정균 원투씨엠 대표, 조우 지아 난(Zhou Jia Nan) 헤이마 라이브 CEO, 창 다 웨이(Chang Da Wei) 두오라바오 CEO

이번 투자의향서 체결을 시작으로 SK텔레콤은 원투씨엠과 중국 현지 파트너사인, 두오라바오(Duolabao), 블루포커스(BlueFocus), 헤이마 라이브(Heima Live)와 5자 간 합자계약을 오는 8월 체결할 예정이다. 지분율은 SKT 42.71%, 원투씨엠 35.81%, 중국 현지 파트너 3사 21.48%(각 7.16%)이며, 5사는 올해 11월에 중국 베이징에 합자법인을 설립한다는 계획이다.

새롭게 설립될 합자 회사에서 SK텔레콤은 모바일 서비스, 커머스 등 생활가치 플랫폼 분야의 전문성과 사업 역량을 제공하게 된다. 원투씨엠은 종이 쿠폰 대신 스탬프를 적립해 여러 혜택을 제공할 수 있는 O2O 솔루션 원천 기술을 제공할 예정이다. 중국 현지 파트너 3사는 현지 역량을 활용해 신규 제휴 사업 모델 발굴 및 운영 등을 맡기로 했다.

뿐만 아니라 SKT 주도의 합자 회사는 우수 기술력을 보유한 국내 중소기업들의 글로벌 진출도 지원할 계획이다. 게임이나 쇼핑, 유통 등 다양한 분야에서 O2O 플랫폼을 통해 중국 시장에 아이템을 적극 소개할 수 있도록 지원,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창조경제의 성공 스토리를 만들어 간다는 포부다.

이종호 SK텔레콤 글로벌사업추진본부장은 “중국의 O2O 플랫폼 사업을 위해 파트너사를 모색 중에 원투씨엠이 보유한 O2O 솔루션 기술이 우수하다고 판단돼 손을 잡게 됐다”며, “중국 현지 파트너사들과도 전략적 제휴를 맺은 만큼 적극 협력을 통해 중국 O2O 시장 공략에 최선을 다할 것이며, 향후 지속적인 투자를 통해 동남아시아 등으로 사업을 확장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정균 원투씨엠 대표는 “우수 기술은 보유하고 있으나 글로벌 진출에 현실적인 제약이 많은 벤처회사 입장에서 이번 제휴는 의미가 크다”며, “대기업과 중소기업간의 성공사례를 만들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원투씨엠은 스마트 스탬프 원천 기술을 보유한 국내 유망 O2O벤처기업이다.

중국 파트너사인 두오라바오는 30만 이상의 가맹점을 보유한 결제 대행 사업자이고, 블루포커스는 중국 최대의 미디어 광고 그룹이다. 헤이마 라이브는 공연 전자티켓(e-Ticket) 발행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모바일 서비스 사업자다.

ham@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