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교과서 내 남녀 역할, 질적 불균형 여전”
[헤럴드경제=원호연 기자] 초ㆍ중ㆍ고교에서 쓰이는 교과서 내용이 인권친화적으로 개선됐지만 남녀 역할에 대한 양적 균평은 반영됐지만 질적 불균형은 여전히 발결되는 등 개선해야 할 점도 드러났다.

국가인권위원회(위원장 이성호)가 23일 ‘인권친화적 교과서 개발을 위한 위크숍’을 개최한다. 서울시 중구 인권위 인권교육센터에서 열리는 이번 워크숍에는 교육공무원, 교육전문가, 교과서 집필 및 출판관계자 등이 참석해 초·중등학교 사회, 도덕, 국어, 기술·가정 교과서 90종을 분석한 자료를 토대로 인권친화적 교과서 제작을 위한 집필 가이드를 제시하고, 각 계의 의견을 수렴할 예정이다. 인권위는 지난해 ‘초ㆍ중등 인권교육 교재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를 경인교대 연구팀에 의뢰한 바 있다.


연구팀은 교과서의 인권관련 내용 포함여부, 교과서 내 용어, 삽화, 표현, 활동 등에 인권침해적 요소가 있는지 등을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교과서 개발 시 준수해야 할 인권친화적 기준과 유의사항을 발표할 예정이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초등학교 사회, 도덕 교과 등은 인권관련 내용을 포함했고 국가인권위원회 등 인권기구를 소개했다. 교과서 속 등장인물의 남녀 비율 균형, 소수자에 대한 다양성 인정의 필요성을 담는 등 긍정적 변화도 나타났다.

반면 남녀 등장인물의 양적 균형은 반영된 반면, 질적 불균형에 대한 문제점이 지적됐다. 예컨대 남학생은 대체로 범죄, 부도덕, 예의 없는 모습으로 등장하고, 여학생은 모범적이고 친절한 모습으로 묘사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아프리카나 이슬람권에 대한 부정적 표현보다는 우호적이고 중립적 서술이 필요하다는 점이 제기됐다. 이들 지역에 대해 가난, 분쟁과 갈등, 불안정, 원시적 등과 같은 이미지를 담은 용어나 자료가 사용된 반면, 서구권 국가에는 부유, 문화와 소비, 안정적, 선진적 등의 이미지가 부여됐다.

사회적 소수자 등에 대한 차별과 인권침해에 대한 해결책으로 시혜적 차원으로 접근하는 것을 지양하고, 권리적 관점에서 해결방향을 제시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제기됐다.

why37@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