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기업 10곳 중 3곳만 면접비 지급…평균 2만6000원
[헤럴드경제=정진영 기자] 불황으로 면접비를 지급하는 기업들이 점점 줄어들고 있다. 실제로 올해 상반기 신입 채용을 진행한 기업 10곳 중 3곳만 면접비를 지급한 것으로 조사됐다.

온라인 취업포털 사람인(www.saramin.co.kr)이 올해 신입 채용 기업 1662개사를 대상으로 ‘면접비 지급 여부’를 조사한 결과, 응답 기업의 27.8%만이 ‘지급한다’라고 답했다. 지난해 조사결과(29.1%)와 비교하면 1.3% 포인트 감소한 수치이다.

기업 형태별로는 ‘중견기업(53.7%)’, ‘대기업(45.6%)’, ‘중소기업(24.7%)’ 순으로 면접비를 지급했다는 응답률이 높았다. 



면접비 지급 규정은 ‘응시자 전원에게 동일하게 지급’하는 기업이 57.1%였고, ‘전원 지급하되, 원거리 거주자에게 차등 지급’은 31.8%, ‘원거리 거주자만 지급’은 11%였다.

기업들이 지급한 면접비는 평균 2만 6000원이었고, 원거리 거주자에게는 평균 4만 1000원을 지급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일반 면접비를 기업 형태별로 보면 대기업이 평균 3만 1000원으로 가장 많았고, 중견기업은 2만 8000원, 중소기업은 2만 5000원이었다.

신입 채용 면접을 2회 이상 시행하는 기업(278개사)들의 경우, 43.2%는 ‘모든 면접에서 지급한다’고 밝혔으며, 38.8%는 ‘1차 면접’만, 18%는 ‘최종 면접’만 지급하고 있었다.

면접비를 지급하는 이유로는 ‘구직자의 비용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서(51.1%, 복수응답)’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뒤 이어 ‘지원자의 참여에 대한 대가라서(50.6%)’, ‘회사의 이미지 관리 차원에서(31.4%), ‘회사가 지방에 위치해서(11.5%)’, ‘우수인재를 확보하기 위해서(9.3%)’ 등의 순이었다.

한편, 면접 응시자들에게 기업 이미지 관리를 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지를 묻는 질문에는 무려 95.9%의 기업들이 ‘필요하다’라고 답변했으며, 면접비나 물품을 제공하는 것이 기업 이미지 향상에 도움 된다고 생각하는 기업도 61.9%에 달했다.


123@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