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한중 FTA 발효 후, 첫 고위급 경제인 회의 열려
[헤럴드경제=윤재섭 기자]한중 자유무역협정(FTA) 발효 후 처음으로 한중 고위급 경제인들이 한 자리에 모였다.

전국경제인연합회(회장 허창수)는 18일 중국 헤이룽장성 하얼빈시에서 중국기업연합회(이하 ‘중기련’)와 함께 ‘제 11차 한중재계회의’를 개최하고, 한중 FTA시대 경제협력과 친환경산업 등 환경문제 대응방안을 논의했다.

특히 전경련은 미세먼지 등 환경문제 해결을 위한 협력 방안을 논의하는 자리를 마련했다.

허창수 전경련 회장은 이날 인사말을 통해 “올해는 한중 FTA가 발효된 첫 해로 FTA를 통해 상품 교역의 증대 뿐 아니라 관광, 문화 등 서비스 및 연관 산업 분야에서 창출되는 새로운 기회를 적극 활용해야 한다”고 말했다. 



허 회장은 또 “헤이룽장성은 교통망이 발달돼 있어 물류 중심지로서 향후 성장성이 크다”며 “한국과 중국, 러시아를 연결하는 국제 물류 및 러시아 극동 개발 등에 양국이 협력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특히 인프라와 관련해 한중 간 과다 경쟁을 방지하고, 중국 주변국의 인프라, 스마트 시티 건설 등 고부가가치 산업에 한중 공동 진출 모색을 제안했다.

양국의 경제인들은 이날 주요 안건 중 하나로 친환경산업과 미세먼지 저감 등 환경문제 협력방안을 논의했다.

특히 최근 양국 공통의 과제로 대두되고 있는 고농도 미세먼지 등 환경문제 대응방안을 놓고 깊이 있는 대화를 나눴다.

미세먼지 대응과 관련해 한국은 향후 10년 간 약 4조6000억 원의 예산을, 중국은 2020년까지 약 304조원의 예산을 배정하는 등 미세먼지 해결은 현재 양국의 공통 관심사이다. 이날 모인 한중 경제인들은 미세먼지 발생의 원인 규명과 저감을 위한 공동 연구 및 기술 개발의 필요성을 절감하고, 이를 위한 협력 방안을 지속적으로 논의하기로 약속했다.

한편 국립환경과학원 등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평상시 미세먼지 발생에 중국의 영향은 50% 미만이지만, 고농도 미세먼지 발생 시 중국의 영향은 60%가 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날 회의에는 중국 루하오(陆昊) 헤이룽장성 성장이 자리를 함께 한 가운데 한국 측에서 허창수 전경련 회장, 김수천 아시아나 사장, 이철희 CJ 중국본사 대표이사, 담도굉 현대자동차그룹 부사장 등 주요 기업인들이, 중국 측에서는 왕쫑위(王忠禹) 중기련 회장, 옌즈용(晏志勇) 중국전력건설그룹 회장, 송즈핑(宋志平) 중국건축자재그룹 회장 등이 참석했다.

양국 경제인들은 이날 일대일로 구상 및 인프라, 친환경 제조업, 관광 및 인적교류 협력 등 다양한 분야에서 한중 간 협력방안을 논의했다.


i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