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김찬우 북극협력대표 “북극항로, 우리 경제 기회로 활용해야”
[러시아 무르만스크=외교부 공동취재단ㆍ김우영 기자] 새 물류 항로로 주목받는 북극항로 개발을 위한 한국과 러시아의 협력 방안이 논의됐다.

16일(현지시간) 외교부는 러시아 무르만스크 아지무트호텔에서 ‘한ㆍ러 북극해 협력 세미나’를 열어 북극해 및 북극항로 개발 관련 협력 방안을 포괄적으로 논의했다고 밝혔다.

무르만스크는 북극권내 최대 부동항으로, 1987년 10월 고르바쵸프 구소련 공산당 서기장이 러시아 북극권 개방을 최초로 발표한 지역이다. 당시 ‘무르만스크 선언’으로 냉전시대 군사대립으로 닫혀있던 북극권의 개방과 북극 평화지역 설립이 제안됐다. 북극항로는 아시아와 유렵을 잇는 최단거리 바닷길(1만5000km)로, 인도양과 수에즈 운하를 거치는 것보다 약 7000km를 단축할 수 있다.

현재 북극항로는 1년에 약 4개월 가량만 안정적으로 운항이 가능하지만 기후변화로 오는 2030년이면 연중 항해가 가능할 것으로 김찬우 외교부 북극협력대표는 내다봤다. 김 대표는 “러시아는 자국의 석유, 가스 등 자연의 지역내 이동 등을 위해 북방ㆍ북극 항로를 지속적으로 개발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경제성이 없더라도 자원 수출ㆍ수입과 북방 지역 경제활성화 등을 위해 인위적으로 개발을 해나갈 것이란 게 김 대표의 전망이다. 그는 이어 “북극 항로가 완전히 열렸을 때는 이미 늦다”며 “미리 비즈니스 기회와 아이디어를 발굴하고 대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16일(현지시간) 러시아 무르만스크 아지무트호텔에서 열린 한러 북극해 협력 세미나 모습
[사진(무르만스크)=외교부 공동취재단]
16일(현지시간) 러시아 무르만스크 아지무트호텔에서 열린 한러 북극해 협력 세미나 모습
[사진(무르만스크)=외교부 공동취재단]

그는 “북극경제권 활성화 열쇠는 항로”라며 “선박건조, 자원 개발 해양플랜트 등은 우리의 기회”라고 말했다. 다만 북극 항로 전체가 완성되는 데는 시간이 걸린다며 구간마다 완성되는 과정을 지켜보면서 기회를 활용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번 세미나에서 ‘북극해 항로 상용화 단계적 접근 방안’을 발표한 이성우 한국해양수산개발원 실장은 “우리나라는 100~5000t의 플랜트 화물이 많은데 가능한 비용을 낮추려면 해상을 이용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또 물류비 부담으로 현재는 수입이 어려운 극동아시아의 농작물도 북극 항로를 이용하면 한국으로 가져올 수 있다고 그는 밝혔다.

그런가하면 얼었다 녹았다를 반복하는 북극항만 개발에 우리나라 중고선박을 활용하는 방안도 제시했다. 이 실장은 “중고선박을 공장(항만)으로 리모델링해 날씨에 따라 남북을 이동하는 새로운 인프라시설로 전환시키면 북극항로를 활성화시키는 것은 물론 선박 수요를 줄여 해운기업의 수급불균형도 해소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번 세미나는 정부의 주요 외교 구상인 ‘유라시아 이니셔티브’의 일환으로, 북극항로를 활용한 유라시아 지역의 연계성 증진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세미나에는 김 대표를 수석대표로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 한국극지연구소(KOPRI) 등이 참여했다. 러시아 측에서는 북극항로항만청, 무르만스크 국립 북극대학교, 국립항해수로연구소 등이 나섰다.

kwy@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
          연재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