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檢 특별수사단 첫 수사] 대우조선해양 선택한 이유는? ‘대규모 공적자금 투입’, ’전국 단위 부정부패 사건’
- 산은ㆍ안진 회계법인도 동시다발적 압수수색 진행

[헤럴드경제=양대근 기자] 전국 단위 대형 부패범죄를 수사하기 위해 검찰 부패범죄특별수사단(이하 특별수사단, 단장 김기동 검사장)이 경영 부실과 분식회계 의혹 등이 제기된 대우조선해양을 정조준하고 첫 수사를 시작했다. 올해 1월 정식 출범한 이후 5개월여 만에 수사에 착수하는 첫 사건이다.

특별수사단 이날 오전 8시부터 서울 중구 소재 대우조선해양 본사와 경남 거제시 옥포조선소 등에 검사와 수사관 150여명을 보내 압수수색에 돌입했다. 같은 시간 산업은행과 딜로이트안진회계법인을 포함해 이날 10여곳에서 압수수색을 동시다발로 진행했다. 대우조선해양의 전직 경영진 일부의 자택 등도 포함된 것으로 전해졌다. 압수수색 장소에서 내부 문건과 회계장부, 컴퓨터 하드디스크 등을 확보했다.

그동안 특별수사단은 대우조선해양이 회사 부실을 은폐하기 위해 수년간 분식회계를 저지른 단서를 포착하고, 경영진이 경영 비리를 저지르고도 이를 은폐한 정황 등에 대해 내사를 해 온 것으로 알려졌다.



대우조선해양을 첫 수사대상으로 삼은 배경과 관련 특별수사단 관계자는 “대규모 공적자금이 투여돼 있고 국책은행인 산업은행이 최대주주로 경영에 관여하는 등 사실상 공기업처럼 운영되는 대우조선해양에서 대규모 분식회계 의혹이나 경영진 비리 의혹에 정황이 다수 발견됐다"며 "사실상 공기업 비리와 같은 차원에서 철저한 수사가 필요하다고 판단됐다”고 밝혔다.

이어 “수사 대상의 규모나 성격으로 볼때 인적ㆍ물적 자원을 집중적으로 투입해야 하는 전국단위의 부정부패 사건에 해당한다는 점도 고려했다”고 덧붙였다. 산업은행과 딜로이트안진회계법인에서 대우조선 관련 자료를 압수수색한 것도 분식회계 의혹과 책임 소재를 규명하기 위한 차원이다.

한편 대우조선해양 남상태 전 사장과 고재호 전 사장 등 경영 부실에 책임이 있는 것으로 지목된 전직 최고경영자들은 이미 출국금지된 상태로 알려졌다.

대우조선해양은 수천억원씩 영업이익을 냈다고 발표한 2013년과 2014년에도 대규모 영업손실을 기록했다고 최근 재무제표 정정 공시를 한 바 있다.

대우조선해양 감사위원회는 작년 10월과 올해 1월 전 경영진의 부실경영 책임 여부를 조사해 달라는 내용의 진정서를 서울중앙지검과 창원지검에 냈다.

특별수사단은 서울중앙지검과 창원지검에서 진행하던 사건을 조만간 이첩받아 기존에 축적해 둔 대우조선해양의 범죄 첩보와 함께 대대적인 수사를 벌일 계획이다. 이 관계자는 “남상태·고재호 전 사장이 재임한 2006년부터 작년까지의 기간이 경영진비리 수사의 주된 범위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일단 특별수사단은 대우조선해양의 분식회계 및 부실경영 의혹 수사에 집중할 방침이지만 추가로 확보되는 단서에 따라 새로운 방향의 수사를 벌일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특히 공적자금을 투입하는 과정에서 대우조선해양 측이 금융당국이나 채권은행, 정관계에 부당한 로비를 벌였다는 단서가 포착될 경우 수사대상이 확대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bigroot@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