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정부, 현대상선 6월중 해운동맹 가입 지원…안되면 법정관리
[헤럴드경제=조민선 기자] 정부가 8일 심각한 경영난으로 채권단의 자율협약을 추진중인 ‘해운 빅2’의 구조조정 계획을 발표했다. 이 내용에 따르면 현대상선은 해운동맹 가입을 성사시켜야 생존 가능하다. 만일 이 조건을 충족시키지 못하면 원칙에 따라 법정관리행이다.

정부는 이날 구조조정 추진현황 및 계획 향후계획 합동브리핑을 통해 현대상선은 3개 채무재조정이 마무리 단계에 접어들었으며 이번주중 용선료 협상 결과를 발표할 것이라고 밝혔다. 6월말까지는 용선주들과의 계약 변경을 최종 완료할 방침이다.

이제 남은 하나의 관문은 해운동맹 가입이다. 정부는 현대상선의 해운동맹 편입을 적극 지원, 6월중 동맹 내 6개 선사의 동의서를 확보하겠다는 방침이다. 


동맹 가입이 성사되면 현대상선은 7월~8월에 걸쳐 채권단 출자전환 등 재무구조 개선 및 지분구조 개편을 단행한다. 이렇게 되면 올해 3월말 5309%에 달했던 부채비율이 226%로 떨어지게 된다. 대주주도 현대계열 지분이 22.6%에서 1.4%로 떨어지고 채권단이 40% 지분을 가진 대주주로 올라선다.

이같은 관문을 통과하면, 현대상선은 정부의 든든한 지원을 받게된다. 정부는 해운사들의 가장 중요한 경쟁력인 초대형 고효율 선박 신조 등을 통해 중장기 경쟁력을 강화하겠다는 방침이다.

구체적으로는 경쟁력 있는 초대형 선박을 신조, 지난 3월 마련한 12억불 규모의 1.3 TEU급 컨테이너선 10척의 선박 신조지원 프로그램을 적극 활용한다.

또 경영진을 교체하는 등 경쟁력 강화방안도 추진한다. 정부는 ”향후 경영정상화 후 경영능력을 갖춘 업계 전문가를 CEO, CFO로 선임하는 등 경영진을 교체하고 조직 체제를 개편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그동안 용선료를 장기 계약하고 과다 지급하는 등 경영난을 자초한건 윗선의 경영실패가 영향을 미쳤다는 판단이다.

아울러 영업경쟁력 확보를 위해 선대 합리화 등 원가 절감 노력과 더불어, 장기운송 계약 및 해외 터미널 확보 등 안정적 영업기반 마련할 방침이다

그외에도 ▷선사, 화주간 협의체를 활용해 대량 화주들과 기존 장기운송계약 기간 연장 및 신규계약 유치로 수익원 확보하고 ▷글로벌 해양펀드(수은) 등을 적극 활용해 주요 거점의 화물 터미널 확보 등 해외 영업기반을 강화할 방침이다.

끝으로 정부는 “이같은 경영정상화 방안이 다 완료되면 경쟁력 있는 해운선사 출현으로 기존 국내 원양화물 처리량 및 부산항 환적 물동량을 유지, 확대할 수 있다”며 “항만, 물류 등 연관산업 발전을 통해 연간 230억불 규모의 서비스 수지 개선 효과 등 국부 창출에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bonjod@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