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조선업 구조조정 ‘생산력 감축’이 핵심키워드… “최대 40% 줄어든다”
[헤럴드경제=홍석희 기자] 기획재정부와 금융위원회 등 정부가 지난 3개월 동안 진행해온 조선업 구조조정 방안이 확정됐다. 핵심 키워드는 한국 조선업의 생산능력 감축이다. 공급 과잉이 과당경쟁을 불렀고, 결국 한국 조선사들끼리 제 살 깎아먹기 경쟁을 했다는 판단이 생산능력을 줄이도록 한 배경이다. 조선업계는 정부안 대로라면 한국의 조선 생산능력이 20~30% 가량은 줄어들 것이라 내다보고 있다.

중소 조선사들은 회사마다 희비가 엇갈렸다. 재무 상황이 열악한 대선조선의 경우 훗날을 기약키 어렵게 됐고, SPP조선은 기존 수주 선박이 예정대로 인도되면 자금이 부족하지 않다는 판단을 받았다. 성동조선해양도 자구안의 충실한 이행을 전제로 2019년까지 비교적 견실하다는 판단을 받았다.


인력 줄이고 도크 문닫고… 조선 생산량 줄인다 = 8일 기재부 등 정부 관계기관합동으로 작성한 ‘산업·기업 구조조정 추진계획 및 국책은행 자본확충 등 보완방안’에 따르면 국내 조선 ‘빅3’는 모두 8조3000억원에 이르는 자구계획안을 제출했다. 주채권 은행 및 채권단은 이를 승인했다.

회사별로는 현대중공업이 3조5028억원, 삼성중공업은 1조4551억원, 대우조선해양은 3조4478억원에 이르는 자구안이 확정됐다. 조선사별로 자구안 규모가 다른 것은 회사별 수주 전망과 자산 보유 상황, 자회사 유무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정부는 현대중공업의 경우 향후 수주 전망에 대해 2016년 131억달러, 2017년 157억달러, 2018년 181억 달러로 전망했다. 최근 5년 사이 현대중공업의 매년 수주액 평균은 183억달러다.

현대중공업은 기존에 알려진대로 하이투자증권 등 3개 금융사를 매각하고, 풍력발전 등 일부 사업으로부터는 완전히 손을 떼기로 했다. 또 자회사를 분할한 다음 지분을 매각하고, 직원 감축 등을 통해 8530억원의 비용을 절감하는 방안을 담았다. 현대중공업의 주채권 은행인 KEB하나은행 측은 현재의 수주 전망보다 수주 상황이 악화될 경우에도 대응이 가능한 자구계획이라고 평가했다.

삼성중공업의 경우 수주 전망치가 빅3 가운데 가장 낮았다. 2016년 53억달러, 2017년 53억달러, 2018년 59억달러로 수주 전망치가 제시됐다. 최근 5년 삼성중공업의 연간 수주량은 110억 달러다. 정부측은 향후 2년 동안 기존 수주 평균의 절반에 불과한 수주 악화 상황이 계속될 것이라고 내다본 것이다.

삼성중공업의 자구 계획 규모도 3사 가운데 가장 적은 1조4551억원에 불과했다. 주채권은행인 산업은행 측은 자구계획 규모가 상대적으로 적으나 유동성 대책이 포함돼 적정한 계획으로 평가된다고 밝혔다. 삼성중공업 자구 계획안에는 ABS 발행과 유상증자 방안이 포함됐다. 삼성중공업의 최대주주인 삼성전자 등이 추후 유상증자에 참여할 가능성이 열리게 된 셈이다.

대우조선해양은 기존 경영정상화 방안에 포함된 주가계획(1조8500억원)에 추가로 3조4478억원의 자구 계획이 제출돼 승인을 받았다. 특히 대우조선해양의 자회사 14개는 모두 매각 대상이 됐다. 또 잠수함 등 특수선 사업 부문은 자회사로 분할해 지분을 매각하게 되고, 현재 7개가 운영되는 도크의 수도 5개로 줄인다. 이럴 경우 대우조선해양의 생산능력은 대략 30% 가량 줄어들게 된다.

대우조선해양의 수주 전망 수치는 2016년 62억달러, 2017년 90억달러, 2018년 90억 달러 수준으로 예상됐다. 대우조선해양은 특수선 사업부를 자회사로 만든 후 매각하는 방식으로 3000억원 가량이, 인력 구조조정을 통해 1조2604억원의 비용이 절감될 것이라 내다보고 있다.

대우조선해양은 승인된 자구안 외에도 최악의 상황을 가정한 위기대응(컨틴전시 플랜) 방안도 마련했다. 예컨대 수주 전망치를 한참 하회하는 수준으로 수주량이 급감할 경우에는 2조원 이상의 비용 절감 방안이 진행된다.


중소조선사 ‘자력갱생’ 원칙= 중견 조선사들은 철저한 시장 논린에 맡겨지게 됐다. 자력 갱생이 가능 여부에 따라 희비가 엇갈린 상황이다. 정부측은 중소조선사에 대해 채권단이 추가로 신규 지원을 하지 않도록 차단했다. 채권단이 져야하는 선수금환급보증(RG)도 손실을 최소화 하도록 했다.

가장 아픈 곳은 대선조선이다. 대선조선은 스트레스 테스트 결과 추가 자구 계획을 이행하더라도 내년 중 자금 부족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고 판단했다. 대선조선이 야드를 일원화하고 소형선 건조에 특화해 673억원 가량의 자구계획을 마련했음에도 당장 내년 상황을 장담키 어렵다고 정부 측이 판단한 것이다. 자금 부족 상황이 발생했을 경우 대선조선 측이 스스로 자금 문제를 해결한다는 방침을 세워 둔 상태다.

SPP조선의 스트레스 테스트 결과 내년 3월까지 기존에 수주 받은 자금을 인도하는 데에는 큰 문제가 없다고 정부측은 결론 내렸다. 최근 결렬된 매각 협상도 SPP조선은 다시 밟는 것으로 잠정 결론 내렸다.

성동조선해양은 모두 3248억원 규모의 자구안을 채권단에 제출했다. 내년까지 2개의 야드를 매각하고 고강도 인력 감축으로 3000억원이 넘는 비용을 절감하겠다고 밝힌 상태에서 채권단이 자구안을 승인한 것이다. 이에 따라 수출입은행은 동결됐던 2230억원의 자금을 지원할 것으로 전망된다. 일단 고비는 넘겼지만 향후 관건은 신규 수주 여부에 달려있다는 것이 업계의 관측이다.

조선업계는 이날 정부의 구조조정 방안에 대해 생산능력 감축이 핵심 키워드라고 분석했다. 고용 인원을 줄이고 운영되는 도크 수를 줄이게 되면 결국 한국 조선사들이 만들 수 있는 배의 건조 척수가 줄어들게 된다는 설명이다. 과거 일본이 추진했던 방안이 바로 생산능력 감축이었다.

업계 관계자는 “정부 방안대로 자구안이 이행될 경우 한국 조선업의 생산력은 최대 30~40%까지 줄어들 것이라 보고 있다. 업황이 호전되더라도 2007년 이전의 초호황 시기는 없을 것이란 게 대체적인 관측”이라고 분석했다. 


hong@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