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중국 포위망 이만한 카드 없지’…인도에 손내민 오바마
中 군사굴기·패권확장 봉쇄 위해
‘서남아시아 맹주’ 인도와 협력 모색
민관합동 ‘아태 안보벨트 구축’나서



미국이 민관합동으로 ‘인도 구애’에 나서고 있다.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은 7일(현지시간)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와 정상회담을 가졌다. 이번이 벌써 네번째다. 앞서 마크 저커버그 페이스북 최고경영자(CEO)에서부터 팀 쿡 애플 CEO 등 IT업계의 거물들도 일제히 인도에 공을 들이고 있다. 전문가들은 미국의 이같은 인도 구애 작전은 중국의 패권확장을 견제하기 위한 대(對) 중국 봉쇄정책의 일환으로 보고 있다. 


체스판을 새로 짠다…‘대중 포위망 구축’=양국 정상의 아날 회담은 미국이 아시아태평양 지역에 새로 짠 안보질서 ‘체스판’을 사실상 확인한 외교행사로 읽히고 있다. 이날 회담을 기점으로 일본과 호주, 필리핀, 베트남, 미얀마에 이어 인도에 이르기까지 중국을 에워싸는 미국 주도의 거대한 안보협력 벨트가 구축됐다는 것이다.

인도는 서남아시아의 맹주국으로, 미국 주도의 안보협력 질서를 구축하는 데에 의미가 남다르다. 핵무기와 대륙간 탄도미사일(ICBM) 등 전략무기체계를 보유한 세계 4위의 군사강국인 인도는 향후 10~15년 내에 세계 3위의 경제대국으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될 뿐만 아니라, 그 인구 규모에서도 중국에 맞설 수 있는 잠재적인 대항마로 꼽히고 있다. 미국이 중국 베이징에서 열린 제 8차 미ㆍ중 전략경제대화에서 중국과 대립각을 세운 한편, 자국 ‘안방’에서는 인도를 적극적으로 포용한 이유가 여기에 있다. 인도를 포용함으로써 중국을 견제하기 위한 안보 틀을 완성한 셈이다.

왜 인도인가…네 차례나 정상회담 가진 미ㆍ인도= 미일동맹으로 시작된 대중국 포위정책은 미ㆍ인도 안보협력 합의로 완성됐다. 특히, 미국이 냉전시기 미국과 소련 사이에서 독자노선을 밟아온 인도와의 안보협력을 구축했다는 데 의미가 크다. 그만큼 아태지역 전반에 걸쳐 중국의 군사굴기와 패권확장에 대한 우려가 크다는 것을 방증하기도 한다.

애슈턴 카터 미국 국방장관은 양국의 안보협력을 ‘전략적 악수’(strategic handshake)라고 표현했다. 오바마 행정부의 ‘아시아 재균형’전략과 동아시아 국가들과의 경제적ㆍ안보적 협력을 확대하려는 인도의 ‘동방정책’(Act East Policy)이 공통의 전략적 이익을 나눌 수 있다는 사실을 표현한 것이다.

모디 총리 취임 2년여 만에 네 번째로 이뤄진 이번 정상회담은 오바마 행정부와 모디 행정부의 공통된 이해관계를 가시화해준 행사이기도 했다. 양국은 이미 지난 4월 ‘군수지원협정’을 맺고 군사기지를 함께 사용하는 데 원칙적으로 합의했을뿐 아니라 남중국해를 합동으로 순찰한다는 계획도 짰다. 이번 정상회담을 통해 양국은 ‘전략적 파트너십’을 재강조하고 방위산업에 대한 협력을 강화하기로 합의함으로써 양국 협력관계를 속도감있게 밀착시켰다.

하지만 양국 관계가 ‘동맹’차원으로 격상될 가능성은 높아보이지 않는다. 인도가 대중국 견제구도에 적극적으로 호응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지만, 과거 독자노선을 걸어오고 비동맹운동을 벌인 만큼, 인도는 가능한한 자율성을 유지하기 위해 전략적인 자세를 취할 가능성이 높다. 특히, 경제적인 면에서 인도는 중국과 협력하는 ‘실리외교’ 펼치고 있다. 모디 총리는 지난해 5월 중국을 방문해 양국 간 경제협력 강화를 확인하고 24개에 달하는 계약과 협정을 체결했다. 주요 2개국(G2)인 미ㆍ중의 패권경쟁 속에서도 나름의 ‘줄타기’를 구사하고 있는 것이다.

중국의 경제적 영향력은 미국 중심의 대중국 봉쇄ㆍ포위정책을 견제할 수 있는 최대 지렛대다. 지난 2월 미국에서 열린 미국ㆍ동남아국가연합(ASEAN) 정상회담에서 ‘항행의 자유 원칙’을 담은 선언문이 채택됐지만, 선언문에서 중국을 지목하지도 못했다. 남중국해라는 단어도 포함되지 않았다. 이는 G7 정상회의에서도 마찬가지였다. 중국과 경제적 거래가 많은 일부 동남아 국가들의 반대가 컸기 때문이다.

이수민ㆍ문재연 기자/munja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