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5월 북극 얼음 사상 최저치… 얼음 없는 북극 오나
[헤럴드경제=김성훈 기자] 올해 5월 북극의 얼음 면적이 관측 사상 최저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9월께에 북극의 얼음이 완전히 사라질 지도 모른다는 비관적 시나리오에 점점 다가가고 있다.

미국 국립빙설자료센터(NSIDC)는 지난달 북극해를 덮고 있는 얼음의 평균 면적이 1200만㎢로 나타났다. 이는 종전 최저 기록인 2004년 5월의 수치보다 50만㎢나 낮은 것이고, 5월 평균치에 비해서는 100만㎢ 이상 낮은 것이다. 북극해의 월별 얼음 면적은 올해 들어 계속해서 기존 최저 기록을 갈아치우고 있다.

1979년부터 2016년까지 집계된 5월 기준 북극의 얼음 면적. [사진출처= NSIDC]

이는 올해 북극의 온도가 어느 때보다 높기 때문이다. 올해 북극 기온은 평균보다 4~5℉높다. NSIDC의 마크 세레즈 이사는 지난 겨울 동안 북극이 따뜻했던 것이 봄까지 이어진 여파라고 설명했다.

북극 얼음은 보통 겨울 동안 얼어붙어 2~3월 무렵 가장 면적이 커졌다가 이후 날씨가 풀리며 줄어들기 시작해 9월께에 이르면 최저치를 기록한다. 문제는 올해는 얼음이 줄어드는 속도가 너무 빨라 북극의 얼음이 이례적으로 적었던 2012년과 비교해도 한 달 가까이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는 것이다. 이같은 추세를 감안하면 9월께에는 북극에서 거의 얼음을 찾아볼 수 없을 지경에 이를 것이라는 전망까지 나온다.

지난 4일 NSIDC의 피터 와덤스 교수는 “올해 9월이 되면 면적이 100만㎢도 되지 않아 북극에서 얼음이 사라질 것으로 추정한다”며 “얼음이 완전히 사라지지 않더라도 면적이 종전 최소면적 기록인 340㎢보다 작아질 것”이라고 예측한 바 있다.

paq@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