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서울형 ‘2단계 도시재생활성화지역’ 후보지 28곳 선정
-경제기반형엔 영등포 경인로…중심시가지형 후보지 7곳
-“주민참여 동력 등 고려”…최대 100억~500억원 지원



[헤럴드경제=강문규 기자]서울시는 주민이 주도해 지역 정체성에 걸맞은 맞춤형 도시재생사업을 하도록 최대 100억~500억원의 사업비를 지원하는 ‘서울형 도시재생활성화지역’ 2단계 후보지에 영등포 경인로 지역과 정동 일대 등 28곳을 선정했다고 2일 밝혔다.

이들 후보지들은 도시재생사업이 주민참여를 동력으로 추진될 수 있도록 준비단계를 거치게 된다. 2단계 서울형 도시재생활성화지역 최종 선정여부는 이후 사업 실현가능성, 추진주체의 역량 등 종합평가를 통해 2017년 가려진다.

선정된 후보지는 유형에 따라 ▷경제기반형 후보지(최대 500억 지원) 1곳 ▷근린재생 중심시가지형(최대 200억원 지원) 후보지 7곳 ▷근린재생 일반형 희망지(최대 100억 원지원) 20개소로 분류된다.

경제기반형과 중심시가지형 후보지 8개 지역

‘경제기반형’ 후보지는 광역 차원의 신 경제거점으로의 가능성, ‘중심시가지형’ 후보지는 역사문화특화 및 도심 활성화 중심지로의 잠재력을 가진 지역을 각각 대상으로 했다.

우선 경제기반형과 중심시가지형 후보지 8개소는 서울시가 도시재생의 법적요건(인구감소, 산업이탈, 건축물 노후 등)을 충족하는 자치구를 대상으로 제안을 받아 심사를 통해 선정했다.

경제기반형 후보지 1곳은 영등포 경인로 지역(영등포구)이다. 중심시가지형 후보지는 ▷정동 일대(중구) ▷동묘지역 일대(종로구) ▷마장동 일대(성동구) ▷용산전자상가 일대(용산구) ▷독산동 우시장 부지(금천구) ▷청량리ㆍ제기동 일대(동대문구) ▷4.19사거리(강북구) 일대 등 7곳이 선정됐다.

서울시에 따르면 11개 자치구의 12개소(경제기반형 2개소, 중심시가지형 10개소)가 신청한 가운데 도시ㆍ건축, 경제ㆍ금융, 역사문화, 공동체 분야의 외부 전문가 10명으로 구성된 선정위원회가 사전서류 검토와 현장실사를 거쳐 지역별 설명회 등 다단계 평가와 충분한 논의를 거쳐 최종 결정했다.

특히 선정위원회는 높은 기준을 적용하기 보다는 선정 취지에 부합하지 않는 최소한의 지역을 탈락시키는 쪽으로 심사의 기본 방향을 잡고 계획의 완결성보다는 ‘공론화’ 후보지로서의 가능성을 판단했다.

서울시는 선정된 후보지에 대해 올 하반기에 공론화 과정을 통해 시민과 지역의 관심과 참여를 높이고 재생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한다는 계획이다.

근린재생 일반형 희망지 20개소는 ▷도시재생활성화사업 희망지(규모 10만㎡ 이상, 1~3개 행정동 범위) 15개소 ▷주거환경관리사업 희망지(규모 10만㎡ 미만, 1개 행정동 범위) 5개소로 구분된다.

선정된 20개 희망지에는 올해 하반기에 1개소 당 8000만~1억2000만원이 지원된다. 이를 기반으로 주민대상 도시재생 교육 및 홍보, 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주민 공모사업, 지역의제 발굴 및 기초조사 등 주민참여 강화 사업을 추진하게 된다.

진희선 서울시 도시재생본부장은 “그동안 도시재생에 대한 주민참여 기반과 공감대가 부족한 상황에서 도시재생활성화지역이 지정돼 사업이 일부 더디게 진행되는 어려움이 있었던 것이 사실”이라며 “후보지 및 희망지 사업을 통해 주민 등 사업 주체들이 충분한 준비기간을 갖게 됨으로써 주민 주도의 서울형 도시재생의 기반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mkkang@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