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경유에 환경부담금 부과…정제마진 악화 겹친 정유업계 ‘비상’
[헤럴드경제=배두헌 기자] 정부가 미세먼지 저감 대책으로 경유에 환경부담금을 직접 부과하는 방식을 추진중인 것으로 알려지면서 정유업계도 비상이 걸렸다. ‘주행세’를 신설하는 대신 경유차 소유주에 부과하던 연 10만~80만원의 환경개선부담금(보유세)을 폐지해 현재보다 비용 부담을 더 지우지 않겠다는 게 정부의 입장이지만 정유사의 주력 상품인 경유 수요는 아무래도 요동칠 공산이 크기 때문이다.

1일 정유업계에 따르면 정유사들은 정부의 경유 값 인상안이 현실화하면서 바짝 긴장하는 분위기다. 당초 환경부가 경유에 대한 유류세 인상안을 처음 들고 나왔을때만 해도 업계에서는 여론의 반발은 물론 기획재정부 등 관계부처의 산을 넘기 쉽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었다.

그러나 이날 환경부와 기재부가 경유 값 인상에 대한 접점을 찾았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긴장감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경유가 정말 미세먼지의 주범인지부터 정확히 따져봐야 하는 게 아니냐는 비판의 목소리가 높았다.

정유 4사(SK에너지, GS칼텍스, 에쓰오일, 현대오일뱅크)를 회원사로 하는 대한석유협회 관계자는 “미세먼지 배출원 가운데 각각 연료가 얼만큼을 차지하는지 보다 정확한 연구 결과를 내놓는 게 최우선이라고 본다”며 “휘발유차는 물론 액화천연가스(LPG)차에서도 미세먼지가 나오는데 경유차에만 불이익을 주는 것은 형평성에 어긋난다”고 말했다.

경유가 정유사들의 주력 상품이긴 하지만 실제 경유 값 인상이 가져올 업계의 손익계산은 그리 간단하지만은 않다.

정유업계 관계자는 “경유 값이 오른다고 해서 단기적으로 경유 수요가 갑자기 줄어들거라고 보진 않는다”며 “중장기적으로는 경유 차 판매 감소 등으로 인한 경유 수요 감소 분을 수출로 돌려야 할텐데 수출시 수익률이 내수에 비해 높다는 점도 복합적으로 따져봐야 해 당장 손익을 예측하기는 쉽지 않다”고 말했다.

한편 정유업계는 최근 정제마진 악화로 2분기 실적에도 먹구름이 낀 상태다. 정제마진은 휘발유 등 석유제품 판매 가격에서 원유 값 등 제품 생산 비용을 뺀 이윤으로, 정유사 실적의 바로미터다.

IBK투자증권에 따르면 국내 정유사들이 기준 지표로 삼는 싱가포르 복합정제마진은 지난 1월 배럴당 9.9달러에서 4월 배럴당 5.3달러로 떨어졌다. 이달 들어서는 배럴당 4.6달러로 더 떨어져 불과 4개월만에 반토막이 났다. 이는 지난해 같은기간 (4월 배럴당 7.5달러, 5월 배럴당 8.5달러)에 비해 크게 낮은 수준이다.

이같은 정제마진의 약세는 기본적으로 공급과잉 때문이다. 국제유가는 지난 1월 바닥을 친 후 지속 상승하고 있지만 석유제품의 수요 상승폭은 그만큼 크지 않고, 중국의 소규모 정유사들 역시 공급과잉에 한몫을 하고 있다.

다만 국제유가 반등이 정유사들의 ‘재고평가이익’을 상승시켜 정제마진 하락분을 얼마간 상쇄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업계 관계자는 “가장 중요한 변수인 정제마진이 악화하는 추세는 실적에 부담이 될 수 있지만 환율 등 다른 변수를 반영한 종합적인 상황은 크게 나쁘지 않다는 게 대체적인 시장의 분석”이라고 설명했다.

badhoney@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