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위안부 보상 생존자 더 우대 검토”
김태현 재단준비위원장 인터뷰
“반대하는 분도 찾아뵙고 설득”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보상과 관련, 사망자보다 생존자를 우대하는 방안이 추진된다. 또 화합 차원에서 피해자 지원 재단에 소녀상을 설치하는 방안도 검토된다.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지원 재단 설립 준비위원장을 맡은 김태현(66·사진) 숙명여대 명예교수는 최근 헤럴드경제와 두 차례 만남에서 이같은 견해를 밝혔다. 재단 설립준비위는 31일 출범했다. 그는 인터뷰 내내 “막중한 책임감”을 강조했다.

김 위원장은 지난 1월부터 재단설립 자문위원회에 참가해왔으며 한국여성정책연구원장, 한국여성학회장 등 33년 간 여성복지ㆍ노인복지를 연구해온 전문가다. 김 위원장은 재단이 설립되면 재단 이사장직까지 이어 맡을 것으로 알려졌다. 

김태현 위원장

김 위원장은 구체적인 재단의 설립 방향, 운영 등에 대해 “앞으로 논의할 문제”라며 말을 아끼면서도 일본 정부가 출연하기로 한 10억엔은 피해 할머니들에게 실질적인 보상이 되도록 노력한다는 방침을 밝혔다. 현재 정부에 등록된 위안부 피해자(사망자ㆍ생존자 포함)는 238명이다. 10억엔을 단순 배분하면 1인당 4500만원 가량이지만, 생존해 계신 할머니들을 좀더 우대하는 쪽으로 검토할 방침이다. 현재 생존 피해 할머니들의 평균 연령은 89.4세로, 100세에 이른 할머니도 있다. 지난해 12월 28일 합의 이후 네 분이 돌아가셨다. 이 외에도 젊은세대에게 아픈 역사를 교육하기 위해 민간 기금모금으로 기념사업을 하거나 기록보존을 위해 기념관을 건립하는 방안 등도 추후 논의될 수 있을 것이라고 김 위원장은 말했다.

소녀상 문제에 대해 김 위원장은 “소녀상은 민간 단체가 만든 것으로 정부가 일방적으로 철거하지 못한다”면서 “오해의 소지가 있는 부분은 지속적으로 단체 및 할머니들과 이야기하면서 조치를 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화합 차원에서 재단에 소녀상 설치를 검토해보겠다고 덧붙였다. 김 위원장은 “피해 할머니들이 가장 중요하다”며 “피해 할머니들 한 분 한 분 찾아뵙고 합의 의의와 앞으로 진행 방향 등을 설명드릴 예정”이라고 말했다.

나눔의 집,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등 관련 단체와 그곳에 머물고 있는 할머니들도 빼놓을 수 없다. 김 위원장은 “합의에 반대하는 분들도 함께 가야만 진정한 해결”이라며 “지속적으로 설득하고 만날 것”이라고 말했다. 김 위원장은 “피해 할머니들은 ‘직접 지원’을 원한다”며 “한 분이라도 살아 계실 때 매듭을 지어야 의미가 있다. 단체들도 피해 할머니 입장에서 생각해 달라”고 호소했다.

한편 이사진에는 주일대사를 지낸 유명환 전 외교통상부 장관과 캐나다 대사 출신인 조희용 국립외교원 일본연구센터 소장, 여성가족부 차관을 지낸 김교식 아시아신탁 회장, 이은경 법무법인 산지 대표변호사(한국여성변호사회 회장), 김재련 법무법인 온세상 대표변호사, 일본 전문가인 이원덕 국민대 국제학부 교수, 진창수 세종연구소 소장, 심규선 동아일보 대기자 등이 포함됐다. 당연직 위원으로는 외교부의 정병원 동북아시아국장과 여가부의 임관식 현 권익증진국장이 들어갔다. 


김우영 기자/kwy@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
          연재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