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 보급률 및 이용자 증가로 모바일게임의 수익성도 점차 증대되면서 대형 게임사 역시 모바일게임 시장에 본격적으로 참여하기 시작했다. 이로 인해 모바일게임 발전에 더욱 가속도가 붙었지만 수익성이 좋은 장르 위주의 유사한 게임으로 시장이 채워지는 장르 고착화 현상도 함께 나타나기 시작했다.
이런 치열한 경쟁과 장르 고착화가 진행되는 시장 속에서 하나의 경쟁력이 될 수 있는 부분이 바로 IㆍP콘텐츠라고 생각한다. IㆍP콘텐츠는 최고 장점인 친숙함과 익숙함을 앞세워 처음 게임을 접한 이용자도 거부감 없이 게임을 즐길 수 있게 도와주며, 일반 게임보다 몰입도를 높여준다. 또한, IㆍP를 좋아하는 기존 팬층을 게임으로 자연스럽게 유입시켜주는 마케팅 효과도 가지고 있어 현재 모바일게임 시장에 더욱 적합한 콘텐츠 중 하나라 생각된다.
최근 IㆍP를 이용해 많은 게임을 출시하는 중국의 경우에도 내수시장을 통해 IㆍP의 잠재성을 이전부터 파악하고 있었으며, 이를 통해 한국보다 먼저 IㆍP 확보에 많은 노력을 투자했다. 그 결과 애니, 게임, 영화와 같이 게임 적용이 용이한 국내외 유명 IㆍP를 다량으로 확보하고, 현재도 양질의 IㆍP를 확보하기 위해 더욱 노력 중이다.
중국 모바일게임 시장을 통해 IㆍP콘텐츠의 위력을 간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데, 중국 마켓 매출 50위권 안의 게임 중 약 40%가 IㆍP를 활용한 게임이다. 아울러 국내의 경우에도 IㆍP콘텐츠를 이용한 게임 대다수가 매출 50위권 내 약 18% 정도 자리하고 있어 국내에서도 IㆍP를 활용한 게임의 성공 가능성을 표면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IㆍP콘텐츠 모바일 게임이 중국에서 지속적인 흥행 효과를 거둔 것을 발판으로 현재 국내 게임사들도 자사에서 출시했던 기존 PC게임이나 웹툰 IㆍP를 이용한 다양한 모바일게임 개발을 시도하고 있다. 또한, 해외에 IㆍP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하는 등 시장 초반과는 다르게 발 빠르게 움직이는 중이다.
흥행에 성공한 IㆍP콘텐츠는 추후 또 다른 게임에 무궁무진하게 사용할 수 있는 만큼 앞으로의 모바일게임시장에서 더욱 각광받을 것으로 귀추가 주목된다.

※ 외부 기고는 본지 편집방향과 다를 수 있습니다.
편집국 game@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