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글로벌 반도체 업계, ‘서울 선언문’으로 中 견제할까
[헤럴드경제=최정호 기자] 한국과 일본, 미국 등 글로벌 반도체 강자들이 노골적인 정부의 직ㆍ간접 지원 아래 메모리 반도체 시장 진입을 노리고 있는 중국 견제에 나설 전망이다. 자국산우선 사용 같은 비관세 장벽과, 지적 재산권의 침해 등의 행위를 적극 견제하는 내용의 ‘서울선언문’이 세계반도체협의회(WSC) 총회에서 채택된다.

26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서울 쉐라톤 그랜드 워커일 호텔에서는 한국과 미국, 일본, 유럽연합(EU), 대만, 그리고 중국 등 6개국 반도체 기업 최고경영자(CEO)들이 참여해 반도체 현안을 논의하는 ‘세계반도체협의회(WSCl) 사장단 연례회의’가 개최된다.

한국반도체산업협회 박성욱 회장이 의장을 맡아 진행하는 이번 WSC에는 전영현 삼성전자 메모리사업부 사장, 미국 인터실 네십 사이네르 대표, 글로벌파운드리 아지트 마노차 고문, 일본 도시바 쇼조 사이또 고문 등이 100여명의 업계 대표들이 참석한다.

이와 관련 업계에서는 이번 총회에서 발표될 ‘서울 선언문’에 주목했다. 지난 20년 간 반도체가 인류의 발전과 지속가능한 경제 성장에 중요한 역할을 해 왔고, 다가올 미래에 ‘반도체 기술 진보를 통한 번영과 발전’을 이루자는 내용이다.

이를 위한 구체적 행동으로 관세의 제거, 무역 장벽 제거와 국제 표준 이행 등이 구체적으로 언급된다. 또 선발 주자들의 지적 재산권 보호를 위한 국제적인 노력도 강조한다. 업계에서는 우리가 주도한 이번 서울 선언문이, 최근 정부가 직접 나서 메모리 반도체 산업을 키우겠다며 사실상 관세, 비관세 장벽 신설을 예고한 중국에 대한 견제 장치로 해석했다.

박성욱 한국반도체산업협회 회장은 의장 연설에서 “반도체는 미래 첨단산업에 기반이 되는 필수적인 요소”라며 “더욱더 치열한 경쟁이 예상되는 반도체 업계에 산학연을 비롯한 각 정부 간 협력의 중요성은 한층 높아질 것이다”고 강조했다.

한편 매년 WSC에서 논의된 내용은 그 해 하반기에 6개국 정부 정책담당자와 기업 CEO가 참석하는 ‘반도체생산국 정부간 연례회의(GAMS)’에 보고된다. GAMS에서는 WSC에서 논의된 이슈가 회원국의 정부 정책과 제도 차원으로 반영할 수 있는 지 타진해 6개국 공동합의안을 도출해 낸다.

choijh@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