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경유값 인상’ 칼 빼든 환경부에 정유업계 ‘긴장’
정유업계, 정부 정책 향방에 ‘촉각’…LPG 업계는 ‘반사이익 기대감’



[헤럴드경제=배두헌 기자] 환경부가 미세먼지 대책으로 ‘경유값 인상-휘발유값 인하’ 방안을 들고 나온 가운데 정유 업계는 긴장감 속에서 정책 향방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당장은 유류세 조정의 키를 쥔 기획재정부 등 관계부처와의 조율, 운송업계를 비롯한 경유차 차주들의 반발 등 넘어야 할 산이 많지만 미세먼지에 대한 정부의 드라이브가 앞으로 점점 현실화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25일 정유업계에 따르면 현행 휘발유 100대 경유 85의 유류세 비율이 어떻게 변화할지 모르는 상황에서 당장 업계의 유불리를 따지기는 힘들다는 입장이다.

예컨대 유류세 비율이 95대90(휘발유 대 경유)로 조정된다고 가정하더라도 경유가 비싸져 수요가 줄어드는 동시에 가격이 저렴해진 휘발유 소비가 늘어나면 손익이 각각 어떻게 상쇄될지 예측하기 힘들다는 것이다.

국제원유 가격 변동에 따른 휘발유와 경유의 정제마진도 큰 변수지만 각각 어떻게 변화할지 알 수 없는 상황이다.

정유업계 관계자는 “경유와 휘발유의 수요가 어떻게 변할지 예상하고 국내 자동차업계 지형 변화로 인한 여러가지 손익을 따져봐야 하는데 당장 어떤 영향을 미칠지는 미지수”라고 말했다.

다만 최근 준수한 실적을 내 온 정유사들 입장에서는 원유 정제시 수율이 높은 주력 상품인 경유 소비가 줄고 시장의 변화가 생기는 것 자체를 달갑지 않아하는 분위기가 묻어났다.

환경부의 방안이 관계부처의 산을 넘기조차 쉽지 않을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정유업계의 다른 관계자는 “유류세 등 에너지 세제 자체에 손 대기를 꺼려하는 기재부와 산업부 등 관계부처의 산을 넘기가 어려울 것”이라며 “화물차, 버스 등 경유를 쓰는 생계형 운송업 종사자는 물론 ‘클린디젤’이라며 혜택까지 주며 경유차를 권장했던 정부에 배신감을 느끼는 경유차주들의 반발이 클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최근 수년째 LPG차량이 줄어들어 위기감이 감돌았던 LPG업계는 반사이익을 기대하며 표정관리중이다. 경유값이 오르면 이탈할 경유차 수요 중 일부가 LPG차량으로도 이동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LPG업계 관계자는 “아무래도 경유값이 오르면 LPG차량은 친환경차이기도 한 만큼 반사이익을 보게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면서 “미세먼지 대책을 두고 업계가 ‘밥그릇 싸움’을 하는 모습보다는 각자의 본질적 경쟁력을 키우는 게 중요한 것 같다”고 말했다.

badhoney@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