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중소기업 4곳 중 3곳 “병역특례제도 유지해야”
[헤럴드경제=정진영 기자] 중소기업 4곳 중 3곳가량은 병역특례제도의 폐지에 대해 반대하는 입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기업중앙회가 지난 19일부터 20일까지 병역특례제도를 활용 중인 중소기업 및 연구소 등 300곳을 대상으로 ‘병역특례제도 폐지검토에 따른 중소기업 의견조사’를 실시했다.

산업기능요원 병역특례제도의 향후 운영에 대해선 ‘제도 운영 항구화’라는 의견이 48.0%로 가장 많았고, 이어 ‘2018년까지 운영후 2019년 재판단’이란 응답이 28.3%로 뒤를 이었다. 반면, 국방부의 계획인 ‘2019년부터 축소하고 2023년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은 11.0%, ‘즉시폐지’는 1.7%에 불과했다.


전문연구요원 병역특례제도의 향후 운영에 대해서도 ‘제도 운영 항구화’라는 의견이 44.0%로 가장 많았고, 이어 ‘2018년까지 운영후 2019년 재판단’이 24.0%로 뒤를 이었다, ‘2019년부터 축소해 23년 폐지’라는 의견은 12.7%, ‘즉시폐지’라는 2.0%에 그쳤다.

병역특례제도 폐지가 기업 인력사정에 미칠 영향에 대해선 ‘인력이 부족해질 것(매우 부족 13.3% + 부족 45.7%)’이란 응답이 59.0%로 가장 많았고, ‘영향없음(영향 미미함 23.3% + 전혀 영향없음 7.3%)’이라는 응답은 30.7%이었다.

병역특례제도를 활용하는 이유로는 ‘인력확보의 상대적 용이성(66.3%, 복수응답)’이란 응답이 가장 많았으며 ‘상대적 저임금으로 우수인력 확보가능(41.0%)’, ‘복무완료 후에도 계속 근무로 장기고용 가능(29.3%)’ 등도 활용 사유로 꼽혔다.

병역특례제도 활용이 생산활동에 도움이 되는지에 대해 ‘도움이 된다(80,7%)’는 응답이 ‘도움이 되지 않는다(3.7%)’는 응답에 비해 20배 이상 많았다. 병역특례제도가 인력부족률 완화에 기여하는지에 대해서도 ‘기여한다(77.0%)’는 응답이 ‘기여하지 못한다(7.0%)’에 비해 11배 높았다.


현행 병역특례제도 활용 시 애로사항으로는 ‘제도의 지속여부 불확실성(28.3%)’이 가장 큰 문제로 꼽혔고 ‘한정된 배정인원 문제(25.7%)’, ‘잦은 이직 및 전직(21.0%)’ 등의 의견도 있었다.

경기도 소재의 한 단조업체는 “병역특례제도가 업체 생산활동에 매우 도움이 되고 있어서 제도가 폐지되면 작업자가 없어져다보니 생산 자체가 불가능한 상태에 직면하게 된다”며 “현행제도가 폐지되면 업체로선 대체인력 확보방안 대책이 마땅히 없으며 비정규직 근로자를 채용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김제락 중기중앙회 인력지원본부장은 “제조 중소기업 산업기술인력 부족률(6.8%)이 대기업(1.9%) 대비 3배 이상으로, 병역특례제도가 중소기업 기술ㆍ연구인력 확충의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기 때문에 병역특례제도 폐지에 대한 재검토가 필요하다”며 “갑작스럽게 병역특례제도가 폐지될 경우 중소기업에 미칠 영향을 검토해야 하며, 국가차원의 산업과학 기술인력 양성을 위한 병역대체복무제도 확대 개편이 적극적으로 추진돼야 한다”고 말혔다.

123@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