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팝콘정치]인턴도 경력자 우대?…국회에도 밀려오는 청년실업 대란
[헤럴드경제=장필수 기자] “비정규직 문제 해소를 공약으로 내건 정치인들이 운집해 있는 국회에서 이 우수한 인재들을 11개월짜리 저소득 인턴으로 부려 먹고는 다시 황야로 내모는 현실이 화가 날 정도로 안타깝다”

지난 19일 의원실 인턴 비서 채용을 끝낸 표창원 더불어민주당 당선자가 페이스북에 남긴 글이다. 표 당선자 인턴 비서 모집인원은 2명에 불과했지만 130명이 지원했다. 연일 신기록을 갱신하고 있는 청년실업률의 칼바람은 국회에도 몰아친다.

취업난 탓에 인턴이 금(金)턴으로 불리는 현실 속에서 국회의 인턴 진입장벽도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 수행분야와 정책분야에서 각 1명씩 인턴을 선발하기로 한 손혜원 당선자는 우대조건으로 ‘일본어ㆍ중국어 문서 작성 및 통역가능자’, ‘사진 및 SNS전문가’를 명기해두었다. 함께 채용하는 5급 비서관과 같은 조건을 내세운 것이다. 손 당선자 외에도 20대 국회 당선자 및 의원들의 상당수 인턴 채용 공고에는 ‘국회 유경험자 우대’라는 문구가 우대 조건 또는 필수 조건으로 기재돼 있다. 


사회에 첫발을 국회로 내딛고자 하는 인턴 지원자들은 의원실의 ‘유경험자 우대’라는 문구에 강한 반감을 표출했다. 국회 인턴에 지원한 경험이 있는 한 대학생은 20일 헤럴드경제와의 통화에서 “개그맨 유병재가 ‘다 경력만 뽑으면 나같은 신입은 어디서 경력을 쌓나’라고 면접관을 윽박지른 영상이 사람들의 공감을 얻지 않았나”라며 “인턴 채용마저 유경험자를 우대한다면 대학생은 어디서 국회 경험을 쌓아야 하나”라고 토로했다. 국회 인턴 출신인 더민주의 한 당직자 또한 “지금과 같은 ‘자격요건’과 ‘주요업무’로는 저도 채용되기 힘들다”고 혀를 내둘렀다. 


높은 경쟁률을 뚫고 의원실에 입성한다고 해도 인턴은 과도한 노동시간과 저임금 등으로 인해 노동 사각지대에 방치되는 경우가 많다. 국회 업무 특성상 퇴근 시간이 불분명해 국정감사 등 특수한 상황에서는 귀가하는 날이 손에 꼽힌다. 특히 인턴은 퇴직금 지급을 피하고자 11개월(퇴직금 지급 기간은 1년)짜리 근로계약서에 서명해야 한다.

지난해 12월 열려야 했던 국회인턴노조와 국회사무처 간 임금 및 근로조건 협상도 총선 때문에 20대 국회 개원(5월 30일) 후로 잠정 연기된 상태다. 인턴노조 위원장은 통화에서 “일단 저 자신부터 다시 인턴으로 들어가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개원 이후에 협상해야 결과를 낼 수 있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essential@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