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돈 안 되는’ 미술관?…적자거나 더 많이 적자라는데…
모기업 힘든데도 예술향한 집념
현대미술 중심 아트센터로 운영
국내 사립미술관들 수익성 고전
장기비전·경영마인드 갖춰야



또 하나의 사립미술관이 문을 열었다. ‘아트센터’라는 이름으로 미술, 퍼포먼스, 영화, 사운드아트 공연 등을 아우를 예정이지만, 큰 축은 현대미술이 될 전망이다. ‘플랫폼-엘 컨템포러리 아트센터(관장 박만우)’다.

‘플랫폼-엘’은 핸드백 브랜드 ‘루이까또즈’로 유명한 태진인터내셔날(회장 전용준)이 서울 학동역 인근에 세운 복합예술공간이다. 

서울 학동역 인근에 들어선 플랫폼-엘 전경. 향후 미술전시와 공연을 아우르는 아트센터로 운영될 예정이다. [사진제공=플랫폼-엘]

3년 연속 매출 하락세에 지난해 영업이익이 ‘반토막(전자공시 기준 2014년 308억원, 2015년 143억원)’이 날 정도로 실적이 악화됐지만, 문화예술에 대한 오너의 집념은 한번 빼든 ‘칼’을 도로 넣을 수 없게 만들었다.

미술관 건립은 기업 메세나의 정점에 있다. 특히 오너가 문화예술에 대한 관심이 높거나 미술품에 조예가 깊은 컬렉터일 경우에 더욱 그렇다. 이들은 문화재단을 만들어 후원을 하거나, 자신의 컬렉션을 기반으로 미술관을 연다.

그런데 미술관은 ‘돈’이 될까. 한국미술관협회 회장을 맡고 있는 이명옥 사비나미술관 관장의 대답은 단언컨데 “아니오”다. 그는 “적자를 보거나, 적자를 많이 보거나 둘 중 하나”라고 말했다. 물론 정식으로 미술관 등록을 하고, 미술관법에 의해 작품 매매를 하지 않는 미술관, 소위 ‘뒷거래’를 하지 않고 순수 미술전시로 운영되는 미술관의 경우다.

▶미술관을 향한 열망, 혹은 낭만=삼성그룹의 삼성미술관 리움, 플라토, 호암미술관, 대림그룹의 대림미술관과 디뮤지엄, 금호그룹의 금호미술관 등 기업 미술관 대부분은 재단 출연금을 기반으로 만들어진다.

등록을 한 정식 미술관의 경우 작품 판매를 할 수 없기 때문에, 운영비는 재단 지원금과 전시 입장료 수입, 프로그램 운영 수입, 그리고 문화상품 판매나 레스토랑 등 부대시설 수입으로 채워진다. 재단 지원금은 부동산 등 출연자금의 운영ㆍ이자 수익에서 나온다.

그러나 기업이 낸 미술관이라고 해서 기업 경영 노하우가 미술관 운영으로 이어지지는 않는다. 그나마 재단 출연금이 있어 어느 정도 ‘인공 호흡’은 가능하지만 미술관 자체 수익으로는 연명이 어려운 정도다. 지속가능한 수익 모델이 없기 때문이다.

국내에서 가장 큰 규모의 사립미술관이자 짱짱한 컬렉션을 갖춘 삼성미술관도 사정이 다르지 않다. 연간 200억원 규모로 운영되는 리움의 경우 자체 수익원은 입장료 수입과 관계사 기부금, 문화상품 판매 등이다.

삼성미술관 관계자는 “미술관을 해서 돈이 남을 수가 없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개인이나 법인, 혹은 지자체가 미술관을 만들 때도 건물을 잘 만드는 것보다 지속가능 여부가 중요한데, 그게 쉽지가 않은 게 현실”이라고 덧붙였다. 미술계 일부에서는 삼성생명 태평로 사옥이 부영그룹에 매각되면서 ‘플라토’의 문을 닫게 된 것도 이와 무관치 않다고 보는 시각이 있다.

개인이 세운 사립미술관의 경우는 더 열악하다. 미술관 관계자들은 “입장료 수입으로는 미술관 전기세도 못 낸다”고 입을 모은다.

이명옥 관장은 “1년에 까먹는 돈만 3억원”이라고 토로했다. 이 관장은 “미술관 운영비의 3분의 1 정도는 공적 자금 루트를 뚫었지만, 나머지는 관장 개인의 역량으로 채워야 한다”며 “질 좋은 전시를 욕심낼수록 적자 폭은 더 커진다”고 말했다.

40년 역사의 토탈미술관은 그동안 약 80억원 정도 누적 적자를 본 것으로 알려졌다. 경기도 장흥과 서울 평창동, 동숭동 일대 부동산 매각으로 자금을 메워오다 지금은 평창동 미술관 부지만 남은 상태다.

▶‘돈’ 안되는 미술관, 왜 만들까=2015년 1월 문화체육관광부 집계 기준 국내 미술관 갯수는 총 202개. 이 중 사립이 139개다. 등록 안 된 미술관까지 합치면 수치는 더 늘어난다.

물론 특화에 성공한 지방 사립미술관들도 있다. 충남 당진에 위치한 아미미술관(관장 박기호)은 사진가들이 좋아하는 장소 중 하나로 꼽힌다. 시골 폐교를 미술관으로 바꾼 일종의 ‘에코뮤지엄’인데, 관장이 일일이 손때를 묻힌 미술관이 수려한 주변 풍광과 어우러져 주말에만 300~400명 정도의 관람객이 찾을 정도로 명소가 됐다.

경북 영천의 에코뮤지엄 시안미술관(관장 변숙희)은 다양한 주민 친화 프로그램으로 입소문이 났다. 전시실과 레스토랑, 조각공원에 캠핑장도 운영하며 가족 나들이 장소로도 각광받고 있다.

극소수의 성공 사례를 제외하면 ‘돈’이 안되는 미술관. 왜 만들까.

기본적으로는 미술이 좋기 때문이다. 예술에 대한 열망, 혹은 낭만이 이들을 미술관으로 이끈다. 컬렉터들의 경우, 수집품이 늘어나면 수장고에 쌓아놓기보다 미술관을 통해 공유하는 것이 더 가치있는 일이라고 느끼게 된다. 기업의 경우에는 기업 이미지와 브랜드 가치 제고를 위한 수준 높은 문화마케팅 플랫폼 역할을 한다.

‘중독성’도 있다. 좋은 전시를 기획해서 사람들이 몰리고, 미술관이 영향력이 커지면서 얻는 성취감이다. 이 때문에 “문 닫기 전까지는 포기하기 힘들다”는 게 사립미술관장들의 반응이다.

그러나 문제는 미술관 경영 마인드가 부족하다는 점이다.

이 관장은 “미술관을 만들겠다는 낭만적인 생각만으로는 부족하다. 얼마나 많은 비용이 들어가는지에 대한 장기적인 경영 계획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말했다.

미술평론가 정준모 씨는 “미술관은 기본적으로 비영리 공공성이 전제돼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기업의 문화적 사회공헌 사업이라도 비영리 공공성에 영속성이 중요하다”며 “어떤 성격의 미술을 담을지에 대해서도 분명한 지향점이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아미 기자/amigo@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