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양질의 일자리 창출이 경제활성화의 핵심”
창조경제 핵심은 일자리 창출이다. 그래서 30년간 기업인의 길을 걸으며 소위 잘나가던 최고경영자(CEO)가 중소기업청장에 발탁 인사된 것은 이례적인 일이 아니다. 일자리 창출의 현안을 기업의 마인드에서 찾아보겠다는 정부의 복안이다.
이런 이유로 주영섭 중기청장의 행보 하나 하나는 세간의 주목을 받는다. 취임 초에 개성공단 철수로 인한 중소기업들의 아픔을 현장에서 청취해 해결책을 찾으려는 노력이 돋보였고 주말까지 반납하고 새로운 중기 정책들을 쏟아내는 열정이 사뭇 달랐다.
주 청장은 취임한 이후 당면한 중기정책에 대해 ‘숲이 뭐냐 총론이 뭐냐’로 고민해왔다. ‘총론을 보고 각론을 보는 것’이 그동안 CEO로써 문제에 접근하는 그만의 방식이였기 때문이다.
그가 보는 중기정책의 총론은 일자리 창출이다. 경제를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이 선행돼야 한다는 것이다. 헤럴드경제가 중기청장 취임 후 3개월동안 쉼없이 달려온 주영섭 청장을 만나 세계경기 침체 속에서 우리 중소기업의 성장을 지속시키기 위한 그만의 지론과 해법을 들어봤다.
다음은 일문일답.
-경제활성화를 위해 창업이 살아나야 하는데 창업 분위기를 어떻게 고취시킬 생각인가.
▶일자리 창출의 각론인 창업은 해외시장을 겨냥한 창업과 내수시장 창업으로 나눌 수 있는데 내수시장의 창업은 하나가 크면 다른 하나가 작아지는 ‘제로섬게임’에 불과하다. 그래서 소상공인창업은 기술을 겸비한 해외시장 진출을 하게 하는 것이 핵심이다. 이것이 순수한 우리경제에 플러스 요인이며 지금까지 과밀적인 소상공인 창업을 지양하는 것이다.
창업은 3가지로 구분할 수 있는데 과학적ㆍ아이디어ㆍ생계형 창업이다. 과학적 창업은 기술적 창업으로 주로 연구원, 대학교수, 석박사들의 창업을 예를 들 수 있다. 아이디어 창업은 대학생들 중심이다. 창업보육(BI)센터, 창업지원센터 등을 통해 지원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생계형 창업은 과밀창업으로 정부가 생계형 창업이 되지 않도록 노력해야 한다. 소상공인의 장점과 위치를 잘 파악해 산업 생태계에서 성공할 수 있도록 정확한 정책을 펼칠 예정이다.
-해외시장 공략을 위해 기술력이 중요한데 우리 중소ㆍ중견기업 연구개발(R&D) 사업의 문제점과 개편방향은.
▶기업의 입장에서 미시적(실물경제)로 접근한다면 기업간거래(B2B), 기업과 소비자간 거래(B2C), 기업과 정부간 거래(B2G)로 나눌수 있는데 B2B의 경우 정확한 브랜드가 있어야 한다.
B2B의 경우 기술력을 겸비해야 한다. R&D는 우리의 경우 매출의 1.4% 정도로 미약하다. 값싼 노동력으로 해외시장을 공략하고 있는 중국을 우리의 경쟁 상대로 생각하지 않고 일본 미국의 기업들과 비교할 때 3.4%의 R&D 투자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조하다. 따라서 기술경쟁력을 높여야 한다. R&D를 강조하는 이유가 해외시장을 진출키 위함이다.
B2C의 경우 브랜드가 좋아야 한다. 우리나라의 장점인 한류마케팅을 접목시키려고 노력 중이다. 최근에 에스엠(SM)과 마케팅 양해각서(MOU)를 체결한 것도 그런 이유다. B2G의 경우 조달청과 MOU를 체결하고 있다.
-기업가 정신 고취는 세계적인 추세인데 취임 후 청장께서 줄곧 주창하고 있는 3세대 기업가란 무엇인가?
▶1세대 기업가는 ‘무’에서 ‘유’를 창출했다. 고 정주영 현대회장, 이건희 삼성회장 등과 같이 오로지 근면성, 도전성으로 성공 신화를 이룩한 인물들이다. 2세대 기업가는 개인기와 능력이 뛰어난 인물들이다. 지난 1990년대 벤처기업 붐을 일으킨 장본인들이다. 당시 3만개 벤처기업이 생겨났는데 이들 기업 중 성공한 기업도 있으나 대부분의 기업들이 도산했다.
3세대 기업가는 창업기업 육성정책 혁신을 통해 만들어진다. 벤처 창업생태계의 조성으로 벤처는 더 이상 위험한 창업이 아니다. 민간투자주도형 기술창업 지원인 팁스(TIPS)가 그 좋은 예다.
기업가 정신은 해외의 경우 기업가 중심의 의무교육을 시키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도 2018년부터 기업가 정신교육을 의무화 시킬 예정이다. 앞으로 교육부 등 관계기관과 협의해 기업가 정신을 세대별 기업가로 좀더 현실적으로 분류하고 접근해 자유학기제, 체험학습등의 교육을 시킬 예정이다.
-대기업 중심의 수출전략이 한계를 보이면서 정부는 중소ㆍ중견기업에서 돌파구를 찾으려고 하고 있다. 어떤 구상을 갖고 있는가.
▶그간 우리 수출을 견인해온 대기업은 해외 현지생산 확대 등으로 수출반등이 쉽지 않기 때문에 중소ㆍ중견기업이 수출회복의 해답이다. 중기청은 수출확대 정책의 패러다임을 혁신적으로 전환해 중소ㆍ중견기업을 무역한국의 주역으로 육성하고자 한다.
우선 중소ㆍ중견 수출기업수 5000개 증가와 수출액 2000억달러 달성을 올해 수출목표로 삼고 수출유관기관의 모든 정책역량을 총결집하겠다.
또 R&D와 마케팅, 자금, 인력, 제도 등 모든 정책수단을 수출 중심으로 연계할 계획이며 중ㆍ미ㆍ일 등 주력시장과 정보통신기술(ICT)ㆍ자동차부품 등 주력품목에 집중된 중소ㆍ중견 수출을 시장과 품목 면에서 다변화할 방침이다.
이밖에 오프라인 시장과 온라인 시장의 균형성장을 통한 유통채널 다양화를 추진하고 개별 중소기업단위에서 산ㆍ학ㆍ관ㆍ연을 아우르는 산업생태계 관점의 수출촉진으로 전환하겠다.
대전=이권형 기자/ kwonhl@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