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당뇨, 관리합시다 ②] 어떤 사람이 당뇨병에 잘 걸리나?
realfoods
- 부모 모두 당뇨병이면 자녀 당뇨병 확률 절반



[헤럴드경제=이태형 기자] 세계당뇨병연맹(IDF)는 아시아 지역에서의 환자 발생에 주목하고 있다. 2040년에는 전 세계 당뇨병 환자의 65%가 아시아 지역에 몰릴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이같은 증가세는 경제 발전으로 인해 에너지 섭취량이 많아지는데 비해 운동량은 줄어들면서 비만인구가 증가하는 데서 그 원인을 찾을 수 있다. 최근에는 30세 이상의 성인 가운데 3명 중 1명이 당뇨병 고위험군을 포함한 당뇨병 환자에 포함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당뇨병은 왜 생기나?=당뇨병은 말 그대로 포도당이 소변으로 나오는 병이다. 정상적으로는 음식으로 섭취한 포도당이 췌장에서 나오는 ‘인슐린’이란 호르몬에 의해 우리 몸의 세포 안에 에너지로 저장된다.

하지만 인슐린이 췌장 세포에서 나오지 않거나 나오지만 제대로 작동되지 않을 때 음식으로 섭취한 포도당이 몸에 저장되지 못하고 혈액에 있다가 소변으로 빠져나가게 된다.

따라서 인슐린을 분비하는 췌장 베타세포가 파괴돼 인슐린이 몸 안에서 나오지 않는 것을 ‘제1형 당뇨병’이라고 하며 소아나 청소년기에 잘 발생한다. 이와는 달리 인슐린이 분비는 되지만 몸 안에서 작용하지 않는, 즉 인슐린 작용에 저항이 생기는 것을 ‘제2형 당뇨병’이라고 한다. 비만한 성인에게서 많이 발생하며, 당뇨병 환자의 약 95%는 제2형 당뇨병에 해당한다.

당뇨병이 생기면 갈증이 나고 물을 많이 마시고 소변을 자주 보고, 살이 빠지는 증상이 나타난다. 하지만 최근에는 이런 증상이 발생하기 전에 건강검진을 통해 혈액의 포도당 수치를 보고 당뇨병을 조기에 진단할 수 있어 증상이 없는 상태에서도 진단되기도한다.

▶어떤 사람이 당뇨병에 잘 걸리나?=당뇨병은 나이가 듦에 따라 증가하므로 40세가 넘으면 매년 공복에 혈당 검사를 해보는 것이 좋다. 체질량지수가 23㎏/㎡ 이상으로 과체중이거나 비만이면 당뇨병에 잘 걸린다.

당뇨병은 가족력이 있다면 특히 주의해야 한다. 부모 2명 중 1명이 당뇨병이면 자녀 중에 당뇨병 발생률은 25%, 부모 2명 모두 당뇨병이면 자녀 중 당뇨병 발생률은 50%다. 따라서 부모나 형제자매 중에 당뇨병이 있다면 혈당 검사를 해보는 것이 좋다.

당뇨병은 음식으로 섭취한 포도당이 체내에 흡수되지 못하고 혈액을 돌다가 고혈당을 일으키게 되므로 혈관에 합병증이 발생한다.

미세혈관 합병증으로는 망막출혈로 인한 실명, 콩팥 질환을 일으켜 미세 단백뇨가 나오거나 부종이 발생하고 심해지면 투석을 받게 된다. 말초 신경에도 합병증이 발생해 발가락 끝이 저리고 따끔거리며 화끈거리거나 양측 발 감각이 떨어지고, 안면마비나 손목, 발목이 마비되는 예도 있다. 큰 혈관에도 합병증을 일으켜서 뇌졸중, 심근경색, 족부괴저를 초래한다.

당뇨병 초반에는 갈증이나 체중 감소, 다음, 다뇨 증상이 있지만 오래되면 이런 증상이 없어 당뇨병의 합병증이 진행 돼도 증상을 느끼지 못하다가 나중에 혈관이 막혀 중풍, 심장마비, 실명이나 부종이 생긴 후에야 알게 된다. 아무 증상이 없다고 안심하지 말고 증상이 생기기 전에 합병증 검사를 받아야 한다.

정인경 강동경희대병원 내분비내과 교수는 “당뇨병으로 처음 진단받은 10명중 3명은 이미 혈관 합병증을 앓고 있으며, 당뇨병 환자의 10명중 7명은 뇌졸중이나 심근경색으로 사망한다” 며 “당뇨병이 있다면 1년에 한 번씩은 꼭 합병증이 생겼는지 검사를 받아야 한다”고 조언했다.

thle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