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당뇨, 관리합시다 ①] 전 세계, 당뇨병으로 7초당 한명씩 사망
realfoods
- 국내 30세 이상 성인 3명 중 1명이 당뇨병 위험



[헤럴드경제=이태형 기자] 당뇨가 전 세계 핵심 보건 이슈로 떠오르고 있다. 세계보건기구(WHO)는 올해 세계 보건의 날 테마를 ‘당뇨병과의 전쟁(Beat Diabetes)’으로 선정했다. 보건복지부와 식품의약품안전처도 당뇨로 인한 국민 건강을 개선하기 위해 식습관 개선 중심의 당류 저감 계획을 발표하기도 했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세계 11명 중 1명은 당뇨병 환자=세계당뇨병연맹(IDF)에 따르면 2015년 기준 전 세계 성인의 11명 중 1명은 당뇨병 환자로, 총 4억1500만명의 성인이 당뇨병을 앓고 있다. 당뇨병 유병률은 계속 증가해 2040년에는 환자수가 약 6억4200만명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국내 상황은 이보다 더 좋지 않다. 대한당뇨병학회에 따르면 2013년 기준 국내 30세 이상 성인 중 당뇨병 환자는 11.9%에 해당하는 약 320만명, 당뇨병 고위험군은 30세 이상 성인의 24.6%인 660만명으로 추정된다. 30세 이상 성인 3명 중 1명인 약 1000만명이 당뇨병 또는 고위험군에 해당한다.

환자가 계속 늘면서 사망률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 세계적으로 매년 약 490만명의 환자가 당뇨병으로 목숨을 잃고 있다. 이는 전 세계적으로 매 7초당 한명이 당뇨병으로 인해 사망하고 있는 셈이다. 이 중 절반이 60세 미만이다.

한국은 OECD 국가 중 당뇨병 사망률이 다섯 번째로 높은 국가로 인구 10만명당 OECD 평균 22.8명보다 9.5명 높은 32.3명이 당뇨병으로 사망했다.

조남한 IDF 차기 회장(아주대 의대 예방의학교실 교수)은 “2040년 세계 인구를 72억명으로 예상했을 때, 3억 6000만명 이상이 당뇨병 환자로 추정된다”며 “특히 전 세계 당뇨 환자의 65%가 아시아 지역에 몰릴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조 회장은 “아시아에서의 발병률이 높은 것은 유전적인 영향이 큰 것으로 볼 수 있다”며 “서구 식습관이 보편화되면서 인슐린 민감도가 떨어지는 아시아 환자 발생이 늘고 있어 IDF도 아시아 지역의 당뇨병 치료와 극복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눈ㆍ신장ㆍ신경계 합병증 심각=당뇨병은 합병증으로 인해 심각한 이환율(일정 기간 동안 새로이 발생한 환자수 전체 인구에 대한 비율)과 사망률을 나타내는 대사 질환이다. 주로 고혈당, 고지혈증, 고협압 등으로 인해 망막, 콩팥, 신경합병증 등의 미세혈관 합병증과 심혈관질환, 뇌졸중 등 대혈관 합병증으로 발생시킨다.

당뇨병성 콩팥합병증은 가장 대표적인 합병증 중 하나다. 지속적인 알부민뇨와 신장 기능 저하에 따른 질환이다. 당뇨병 환자 중 26.7%에서 알부민뇨가 발생하며, 8.6%에서 만성신부전(만성콩팥병)이 발생하고 있다.

2014년 기준 1만3141건의 말기 신부전 발생 건 가운데 당뇨병성 콩팥합병증으로 인한 발생 비율이 48%를 차지했다.

당뇨병성 망막합병증은 국내 성인의 실명 원인 중 가장 흔한 원인으로, 제 2형 당뇨병 환자의 15.9%가 당뇨병성 망막합병증을 앓고 있다.

또 당뇨병 환자의 33.5%가 앓고 있는 당뇨병성 신경합병증은 미세혈관합병증 중 가장 흔하고, 초기에 나타나는 합병증이다. 무감각, 저린감에서부터 일상생활에 지장을 주는 극심한 통증과 족부궤양 발생, 이로 인한 하지 절단을 초래해 당뇨병 환자의 삶의 질을 저하시키고, 사망률을 증가시킨다.

김대중 대한당뇨병학회 홍보이사(아주대 내분비내과 교수)는 “국내 대학병원을 조사한 결과 입원 환자의 15~20%는 당뇨병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외래에서 관리되는 부분이 입원했을 때 오히려 관리가 안 되고 있어 혈당 관리, 검사, 수술 등 전반적인 관리 시스템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thle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