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야근’하면 심장 질환 위험 60% 높아진다
[헤럴드경제=김은빈 인턴기자] 일을 많이 할수록 좋은 결과가 나올까? 야근이 오히려 근로자의 업무 효율성을 낮춘다는 조사가 최근 발표됐다.

미국 경제매거진 INC는 “주 40시간 이상의 근무시간이 근로자의 생산성을 낮출뿐더러 여러 가지 건강 문제를 일으킨다”고 경고했다. 심리 전문가에 따르면 하루 10시간 넘게 일하는 근로자는 심장 질환 위험이 60% 가까이 증가한다.

우리나라의 법정 근로시간은 주 40시간으로, 일반 기업은 주 5일 하루 8시간 근무 형태를 선택하고 있다. 추가로 2시간만 근무해도 심장 질환의 위험률은 배 이상 증가한다.


연장근무는 우울증, 급격한 체중 증가 등의 건강 문제를 일으킨다. 특히 하루 11시간 이상 초과 근무를 한 근로자에게 우울 증상이 다수 보고됐다.

또 혈압, 면역 억제 체계 등에 영향을 미치는 스트레스 호르몬인 코르티솔(Cortisol)로 인해 기억 감퇴, 수면 장애 등 각종 스트레스 관련 질병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다. 아울러 과로가 알코올ㆍ흡연 중독과도 연관된 것으로 밝혀졌다.

과로는 대인관계에도 영향을 미친다. 주당 50~60시간 일하는 근로자의 10%가, 60시간 이상은 30%가 대인관계에 문제가 있다고 응답했다.

제조업 근로자의 경우 근무 시간이 10% 늘어날수록 생산성이 2.4% 낮아졌다. 또한 부상 위험도 따라 증가했다. 주 60시간 근무하는 근로자는 부상 위험률이 평균보다 23% 높았다.

주 60시간 이상의 사무직 근로자는 업무 효율성이 25% 이상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다.

kimeb2659@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