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국민의 안전, 로봇이 지킨다···재난 대응 로봇 관련 특허 출원 증가세
[헤럴드경제(대전)=이권형 기자] 최근 한반도에도 소규모 지진이 빈번히 발생하고 있어, 더 이상 지진과 같은 자연 재해로부터 안전하지 않다는 국민들의 우려가 커지면서, 재난 발생시 인명 구조나 재해 복구에 투입될 수 있는 로봇 기술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재난 대응 로봇이란 지진이나 해일 같은 자연 재해뿐만 아니라 원전 누출, 대형 건물 붕괴 사고와 같은 극한 환경 조건에서 인간을 대신하여 투입이 되는 로봇을 의미한다.

특허청(청장 최동규)에 따르면, 재난 대응 로봇과 관련한 국내 특허출원(출원일 기준)은 그 이전에는 연평균 2~3건에 불과하던 것이, 2010~2012년에는 22건, 2013~2015년에는 51건이 출원돼 2010년이후부터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재난 대응 로봇과 관련한 출원비율은 기업들의 출원이 34%로 비중이 가장 높았고, 대학이 30%, 공공연구소가 21% 및 기타 개인이 15%의 비중을 차지했다. 기업, 대학 및 공공연구소들의 특허 출원 비중에 큰 차이가 없어, 이 분야에 대한 연구 개발이 산ㆍ학ㆍ연에서 균형 있게 진행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2010년 이후 특허 출원된 기술동향을 살펴보면, 화재 진압 등 소방관련 분야가 32%, 재난 환경 투입 및 구조 분야가 30%로 각각 높은 비중을 차지했고, 탐지 및 감시분야가 23%, 수상 및 수중 분야가 10%, 기타 5%를 차지했으며 해난 사고와 관련한 수상 및 수중 분야에 대한 특허도 꾸준히 출원되고 있다.

특허청 권영호 로봇자동화심사과장은 “재난 대응 로봇은 기구학적 설계기술, 자기위치인식기술, 사물 및 환경인식기술, 정보통신기술, 자율이동기술 및 배터리 성능향상기술 등이 복합적으로 집약된 기술”이라며, “앞으로는 인간의 행동을 더욱 모방한 휴머노이드(Humanoid) 로봇 기술과 재난 대응 기술이 결합돼 실제 인간을 능가하는 재난 대응 로봇으로의 발전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우리나라의 재난 대응 로봇 기술은 세계적 재난 대응 로봇 경진대회인 ‘2015년 다르파 로보틱스 챌린지(DARPA Robotics Challenge)’에서 카이스트 팀이 ‘DRC-HUBO’ 로봇으로 우승하며 세계적인 수준임을 인정받은 바 있다.

kwonhl@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