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맞춤형 유방암 치료 가능해진다…전체 유전자 염기서열 분석
- 한양대학교 공구 교수팀, 해외 공동 연구로 세계 최대 규모 유방암 유전체 분석
- 보건복지부 지원으로 연구 수행, 세계 최고 권위 저널 ‘네이처’에 게재


[헤럴드경제=이태형 기자] 보건복지부(장관 정진엽)는 국내 연구진이 해외 연구진과 공동연구를 통해 세계 최대 규모의 유방암 환자 전장유전체(전체 유전자 염기서열)를 분석하고, 그 결과를 세계적 과학저널인 ‘네이처(Nature)’에 발표한다고 3일 밝혔다.

이번 연구는 보건복지부, 영국 웰컴트러스트 재단 및 국제 암 유전체 컨소시엄의 지원을 받아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공구 교수팀과 영국 생어연구소 Stratton 박사팀의 공동 주도로 12개국 48개 기관이 참여했다.

암을 일으키는 유전적 변이는 환자별로 다양하기 때문에 암 발생기전을 종합적으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많은 수의 환자 사례를 분석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에스트로겐 수용체(ER) 양성(positive) 및 음성(negative) 유방암에서의 주요 암 유전자 현황 상위 30개. 유방암 560 사례에서 발견되는 주요 암 유전자들의 유전변이를 유방암 타입(에스트로겐 수용체 양성, 에스트로겐 수용체 음성) 별로 정리한 그림. TP53 유전자에서 가장 많은 변이가 발견되며, 전체 패턴은 에스트로겐 수용체 양성과 음성에 따라 다르다.

이번 연구는 국내외 유방암 환자 560명의 전장유전체를 분석해 유방암 발생과 관련된 주요 유전자 93개를 확인했고, 암을 유발하는 1628개의 유전적 변이를 밝혀냈다.

연구팀은 93개의 유방암 유발 유전자 중 특별히 10개 유전자에 유전적 변이가 집중되고 있음을 발견했다. 또 유방암 발생에 큰 영향을 주지는 않지만 단백질 비부호화 영역에서도 높은 빈도의 유전적 변이를 발견했다고 밝혔다.

단백질 비부호화 영역(Protein non-coding region)은 유전체 중 단백질로 발현되지 않는 영역으로 전체 유전체의 약 95%를 차지한다. 전장유전체 해독을 통해서만 확인이 가능하다.

또 암 유전체의 변이 특성 분석을 통해 12개의 치환변이(DNA 염기가 다른 염기로 치환되는 변이)와 6개의 구조변이(유전체의 특정 영역이 구조적으로 바뀌는 변이)를 발견했다. 이 중 유전적 변이 발생 시 원상복구하는 기능(DNA 수복기전)과 관련된 유전자와 APOBEC 탈아민화효소(바이러스의 DNA와 RNA에 변화를 만들어 바이러스 감염을 억제하는 효소. 이 유전자에 변이가 있으면 암 발병 가능성이 높음) 유전자의 변이가 유방암에 특이적인 유전적 변이 특성을 만드는데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했다.

국내 연구를 이끈 공구 교수는 “유방암 발암기전을 종합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백과사전을 준비한 것”이라며 “다양한 종류의 유방암에 대한 발암 기전과 치료 기술을 연구하는 데 기초자료로 활용돼 맞춤형 암치료 기술개발을 촉진하고 정밀의료를 실현하는데 활용가치가 높을 것”이라고 연구 성과의 의의를 설명했다.

이번 연구는 세계 최대 규모의 암유전체 분석연구로, 2011년부터 2012년까지 총 66억원의 보건복지부 지원으로 진행됐으며, 3일 네이처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thle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