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보고서 은폐·뒷북 사과검찰, 안전성 허위광고옥시 이사진 소환조사
옥시레킷벤키저가 21일 뒤늦게 공식 사과문을 내고 진화에 나섰지만 가습기 살균제 사망사건을 둘러싼 논란은 쉽사리 가라앉지 않고 있다.

2011년 옥시의 가습기 살균제 동물실험을 진행한 서울대 교수가 최근 검찰 조사에서 “옥시 측이 자사에 유리한 결과만을 검찰에 공개했다”고 진술한 것으로 전해지면서 옥시의 은폐 정황은 더욱 짙어졌다.

당시 옥시가 서울대 수의과대학에 의뢰한 흡입독성 평가에서 가습기 살균제에 노출된 임신한 실험 쥐 15마리 중 13마리의 새끼가 뱃속에서 죽었다는 결과가 나왔다.

연구팀은 “옥시의 가습기 살균제에 생식독성 가능성이 존재한다. 추가 실험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첨부했지만 옥시 측은 이를 숨기고 이듬해 임신하지 않은 쥐를 상대로 한 실험에서 ‘유해성이 확인되지 않았다’는 결과가 나온 2차 보고서만 검찰에 제출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사건을 담당하고 있는 서울중앙지검 특별수사팀(팀장 이철희 형사2부장)은 옥시가 제품의 인체 유해성을 어느 정도 알았을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수사에 집중하고 있다.

지난해 11월 옥시 연구원에 대한 조사과정에서 “가습기 살균제의 안전성 검사를 하지 않았다”는 진술도 나온 것으로 전해지면서 옥시의 업무상 과실 정황은 더욱 뚜렷해지고 있다.

검찰은 21일 옥시에서 소비자 민원 접수 업무를 담당한 직원 2명을 불러 홈페이지에 올라온 부작용 호소 글들이 삭제된 경위 등을 조사했다. 22일에는 옥시 마케팅 담당 직원 3명을 불러 옥시의 가습기 살균제가 안전하다고 허위광고한 경위를 조사할 계획이다. 옥시는 자사의 ‘옥시싹싹 뉴가습기 당번’에 대해 ‘인체에 안전한 성분을 사용해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다’고 표기해 판매했다.

검찰은 안전성 검사도 없이 마케팅 직원들을 대상으로 옥시의 가습기 살균제가 안전하다고 표시한 경위와 윗선의 지시 여부에 초점을 두고 있다.

검찰은 신 전 대표 등 옥시의 전ㆍ현직 이사진을 피의자 신분으로 소환조사할 방침이다.

김현일 기자/joz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