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30년전 ‘보도지침’ 흑역사 다룬 실화극 '보도지침'
‘보도지침(연출 변정주, 극작 오세혁)’은 무거운 실화를 바탕으로 한 연극이 이토록 재기발랄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작품이다.

엘에스엠컴퍼니(대표 이성모)가 제작, 초연한 연극 ‘보도지침’은 실제 있었던 언론계 ‘흑역사’를 소재로 했다. 꼭 30년 전, 제5공화국 시절 언론통제 논란을 부른 ‘보도지침’ 사건이다. 이 사건은 1986년 김주언 당시 한국일보 기자 등이 월간 ‘말’지를 통해 정부의 보도지침 584건을 폭로하면서 국가보안법 위반 등으로 구속됐고, 1995년 대법원의 무죄 확정 판결이 나면서 9년만에 종결됐다. 

연극 ‘보도지침’의 배우들. [사진제공=벨라뮤즈]

기본적인 공간 설정은 법정이다. 사건을 폭로한 기자와 월간 ‘독백’의 발행인이 피고석에 앉고, 검사와 변호사가 날선 법정공방을 펼친다.

실화를 무겁지 않게 만든 건 연극적인 설정이다. 법정에 선 기자와 발행인, 검사와 변호사가 학창시절 연극반 친구였다는 설정을 끼워 넣었다. 그리고 법정에 선 이들은 어느 순간 학창시절 연극반 동료였던 시절로 ‘플래시백’ 된다. 무대는 법정이자 광장이자 극장이 되면서, 재판이자 토론이자 연극인 이야기를 2시간 동안 숨 쉴 틈 없이 쏟아낸다.

‘보도지침’은 상업 초연임에도 불구하고 탁월한 작품성을 갖췄다. 과거와 현재를 넘나드는 설정이 속도감 있게 펼쳐지며 한 순간도 긴장을 놓기 힘들다. 변정주(41) 연출의 힘이다. 변정주는 ‘날보러와요’, ‘넥스트투노멀’을 연출하고 지난해 ‘러브레터’로 제9회 더뮤지컬어워즈 연출상을 수상했다.

감각적이면서도 정곡을 찌르는 말의 성찬은 대학로의 젊은 극단 ‘걸판’을 이끄는 연출가 겸 극작가 오세혁(35)의 지분이다. 오세혁은 2011년 ‘아빠들의 소꿉놀이’, ‘크리스마스에 삼십만원을 만날 확률’ 2편으로 신춘문예 희곡부문에 등단, 그해 밀양여름공연예술축제 젊은연출가전에서 대상과 연출상을 받으면서 이름을 알렸다. 서울시극단의 ‘헨리 4세: 왕자와 폴스타프’ 대본도 그의 손을 거쳤다.

그러나 연극 ‘보도지침’을 있게 만든 건 무엇보다도 엘에스엠컴퍼니의 이성모(35) 대표다. 이 대표는 2010년 엘에스엠을 만들고 뮤지컬 ‘국화꽃향기’, ‘두결한장’, ‘아보카토’, ‘안녕유에프오’ 등을 제작해 왔다.

이 대표는 2014년부터 이 작품을 구상했다. 실제 사건 당시 변론서에 있던 내용도 상당 부분 대본으로 끌어왔다.

사실 연극 ‘보도지침’은 감각적이면서도 날선 연출과 타고난 이야기꾼의 만남, 여기에 무대와 브라운관을 넘나드는 연기파 배우들의 조합으로 개막 전 티켓 오픈 당일 예매율 1위를 달릴 정도로 기대를 모은 작품이었다.

그러나 개막하자마자 곧 논란에 휩싸였다. 이 대표가 ‘보도지침’ 홍보 브로슈어에 작품 제작 계기를 실은 것이 화근이 됐다. “2014년 여름, 세월호 사건으로 침체된 공연계에 20~30대 젊은 여성들을 겨냥한 저가의 가벼운 공연들이 넘쳐날 때, 모든 세대와 성별을 아우를 수 있는 공연을 보고 싶었다”고 말한 것이 2030 젊은 여성 관객들의 ‘공분’을 샀다.

홍보 브로슈어는 전량 폐기됐지만, 수백장의 티켓 환불 사태가 이어졌다. 이 대표는 즉각 자신의 페이스북과 ‘보도지침’ 공식 계정을 통해 여러차례 사과문을 올렸다. 그러나 관객들의 마음을 돌리기엔 역부족이었다. ‘보도지침’ 관련 기사나 커뮤니티에선 아직도 비난 댓글이 폭주한다. 평일 객석 뒷쪽은 빈 자리가 휑하다.

이 대표가 ‘보도지침’ 제작 계기를 통해 진짜 말하고 싶었던 것은 ‘메시지가 있는 연극’이었다. “뚜렷한 메시지를 갖고 있으면서도 관객들에게 짜릿함을 줄 수 있는 킬러콘텐츠가 연극에서도 필요하다”는 생각이 작품을 만든 계기였다.

이 대표는 “제 자신이 억울하다기 보다 마음이 아팠다”고 털어놨다. “정말 치열하게 준비했는데 작품을 만든 모든 분들에게 누가 된 것 같아서”다.

‘작품 밖’의 말 때문에 ‘작품 안’의 말이 묻혀버렸지만, 다행인 건 공연 기간이 꽤 길다는 점이다. 오로지 작품 안의 메시지만으로 관객과 화해할 시간은 아직 충분하다. ‘보도지침’을 보기 위해 극장을 찾은 관객 대부분은 여전히 젊은 여성 관객들이다.

더 이상 정부의 ‘보도지침’이 필요없는 시대, 굳이 무언가를 통제한다는 것이 의미 없는 시대이기 때문에, 연극 ‘보도지침’은 더욱 유효하다. 이게 무슨 뜻이냐고? 연극의 마지막 대사로 대신할 수 있다. “몰라서 묻나.”

송용진, 김준원(김주혁 기자 역), 김대현, 안재영(월간 ‘독백’ 발행인 김정배 역), 이명행, 김주완(변호사 황승욱 역) 등 출연. 6월 19일까지 대학로 수현재씨어터. 

김아미 기자/amigo@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