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조세피난처의 민낯 ②]캐머런 英 총리 “역외펀드 주식 매각” 실토…“도덕적으로 잘못된 짓” 파문 확산
[헤럴드경제=김성훈 기자]데이비드 캐머런 영국 총리가 작고한 부친이 소유한 역외펀드의 주식을 총리에 오르기 직전 처분했다고 실토했다. 하지만 캐머런 총리의 부친이 또 다른 역외펀드를 소유했던 사실이 드러나면서 캐머런 총리를 둘러싼 ‘파나마 페이퍼스’ 파문은 쉽사리 수그러들지 않을 전망이다.

캐머런 총리는 7일(현지시간) ITV 뉴스에 자신과 부인이 공동계좌로 ‘블레어모어 홀딩스’의 주식을 보유하고 있었고, 2010년 1월 약 3만 파운드(약 5000만원)에 매각했다고 밝혔다. 2010년 5월 총선 승리로 총리에 취임하기 넉달 전이다. ‘블레어모어 홀딩스’는 캐머런의 부친 이언 캐머런이 조세회피처 바하마에 설립한 투자펀드로 이번 ‘파나마 페이퍼스’를 통해 실체가 드러났다. 



캐머런은 그러나 “배당소득세를 냈다. 자본이득세는 면세 한도여서 내지 않았지만 관련된 모든 영국 세금에 따라 처리했다”며 탈세는 없었다고 강조했다. 그는 그러면서 “아무것도 숨길 게 없다. 부친과 그가 세웠던 사업을 자랑스럽게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일각에서 부친이 블레어모어를 탈세 의도로 만들었다는 비난은 오해에서 비롯됐다는 것이다. 캐머런은 이와 관련 환율 통제가 시작된 이후 달러화 표시 주식에 투자를 원하는 개인들과 기업들을 위해 설립된 것으로, 당시 이런 식으로 만들어진 펀드들이 수천개라고 설명했다.

총리실도 캐머런 부부가 1997년 이 주식을 1만2497 파운드에 매입했고, 2010년 1월 3만1500 파운드에 매각했다고 밝혔다.

하지만 ‘파나마 페이퍼스’를 둘러싼 의혹은 좀체 가라앉지 않을 전망이다.

당장 톰 왓슨 노동당 부대표는 복잡한 탈세 수단 이용은 “도덕적으로 잘못된 짓”이라며 “캐머런이 어쩔 수 없는 상황에 몰려 탈세와 연관된 역외펀드의 주식 소유를 인정한 것”이라고 몰아붙였다.

다른 야당인 스코틀랜드국민당(SNP)의 경제담당 대변인인 스튜어트 호시 의원도 “그런 탈세 수단을 이용하는 것의 도덕성을 문제 삼았던 총리의 믿기 어려운 고백”이라고 비난했다.

앞서 일간 가디언은 ‘파나마 페이퍼스’를 바탕으로 캐머런의 부친이 1982년 설립한 블레어모어가 지난 30년간 영국에 세금을 한 푼도 내지 않았다고 보도했다. 가디언은 또 2006년 블레어모어가 새로운 투자자를 모집하면서 투자자들에게 영국에서 세금을 내지 않을 것임을 강조했다고도 전했다.

가디언에 따르면, 당시 투자유치서에는 “이사들은 투자회사 업무가 영국 거주자에 해당하지 않도록 처리하려는 의도다. 따라서 투자이익에 대해 영국 법인세나 소득세가 부과되지 않을 것이다”고 적혀 있었다.

가디언은 블레어모어가 영국에서 과세를 피하려고 이사진 과반을 스위스나 버하마 출신으로 채웠고, 이언 캐머런 등 영국인 이사들이 스위스나 바하마로 날아가 이사회에 참석했다고 설명했다.

게다가 전날에는 영국 ‘채널 4 뉴스’가 이언 캐머런이 영국 왕실령으로 조세회피처인 저지 섬에 등록된 역외펀드 ‘폐쇄형 국제주식성장펀드’의 이사였고, 2009년 사임할 당시 이 펀드의 주식 최소 6000주를 소유하고 있었다고 보도했다.

이같은 사실이 드러나면서 캐머런 총리가 이 역외펀드로부터 수혜를 입은 게 아니냐는 의혹을 받았으며, 도덕적으로 비난받을 일이라는 여론에 직면했다.

캐머런 총리는 이에 대해 “주식, 역외신탁, 역외펀드, 그런 것들을 갖고 있지 않다. 이 정도면 매우 명확하게 설명한 것”이라고 해명한 바 있다. 총리실도 “총리와 부인 또는 자녀가 역외펀드로부터 이득을 얻지 않았다” “장래에도 이득을 얻을 역외펀드ㆍ신탁이 없다”는 성명을 잇달아 내놨지만 논란은 수그러들지 않았다.



/paq@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