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박대통령, “北, 원자력 시설 안보 위협할 수도”
-무인기 이용한 원전 시설 침투나 사이버 공격 등 위협에 대비해야
-새로운 테러집단 대비 핵안보 연대 전진 멈춰서는 안돼


[워싱턴=최상현 기자]박근혜 대통령은 “과거 북한의 사이버 공격과 무인기 침투 시도를 감안하면, (북한이) 새로운 기술을 악용해서 원자력 시설의 안보를 위협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말했다.

제4차 핵안보정상회의(31일~4월1일) 참석차 미국 워싱턴을 방문 중인 박 대통령은 31일(현지시간) 오후 워싱턴 D.C. 워싱턴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정상 업무만찬에 참석해 “북한이 2009년 IAEA(국제원자력기구)의 핵시설 접근을 차단한 이후, 국제사회는 북한의 핵물질 생산과 축적, 관리현황에 대한 정보가 거의 없는 상태”라며 이같이 말했다.


박 대통령은 “무인기를 사용한 원자력 시설 침투나 방사성 물질의 살포, 또는 원전 제어 시스템에 대한 사이버 공격과 같이 신기술을 악용한 위협에도 적극 대응해 나가야 한다”며 “핵테러 위협이 진화하고 있는 만큼, 우리의 대응 또한 보다 선제적이고 창의적이어야 하며 국제적 연대도 더욱 견고하게 다져 나가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 “국제적, 지역적 분쟁의 양상이 더욱 복잡해지는 가운데 새로운 형태의 테러집단이 등장하고 있다”며 “여전히 핵테러 위협이 다양한 형태로 상존하고 있기 때문에 핵안보를 위한 우리의 연대와 전진은 여기서 멈춰서는 안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폭력적 극단주의 세력이 핵시설과 핵물질을 수중에 넣어 전 세계를 위협할 수도 있고, 자생적 테러리스트를 통해 핵테러 위협이 야기될 가능성이 높아지는 것도 새로운 도전이 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북한은 금년 초 국제사회의 거듭된 경고와 우려에도 네 번째 핵실험을 감행했고, 오직 김정은 정권의 유지를 위해 핵 비확산, 핵안보, 원자력 안전에 관한 모든 국제규범을 무시하면서 20년 넘게 무기급 핵물질 생산과 축적을 계속하고 있다”며 “‘핵무기 없는 세상’이라는 비전 실현에 정면 도전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박 대통령은 “북한이 생각과 행동을 바꿔 비핵화의 길로 나올 수밖에 없도록 국제사회가 유엔 안보리 대북제재 결의를 충실하게 이행하면서,북한에 단호하고 일치된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어 “북한 비핵화는 한반도와 동북아는 물론 국제사회 핵안보 증진을 위해서도 필수적인 과제”라고 말했다.

src@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