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이젠 배달도 로봇이?…美 워싱턴, ‘배달 로봇’ 허용 조례 추진
[헤럴드경제=한석희 기자] 배달도 로봇이 하는 시대가 바짝 다가왔다. 피자업체가 음식을 배달할 수 있는 로봇을 공개한 데 이어, 미국의 수도 워싱턴 D.C.에선 배달용 로봇을 운행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방안이 추진되고 있다.

미국 워싱턴포스트(WP)에 따르면, 워싱턴 시의원 메리 체는 이날 배달용 로봇 제작업체 ‘스타십 테크놀로지스’(www.starship.xyz)와 협의해 배달용 로봇을 이 도시의 보도에서 운행할 수 있도록 허용하자는 조례안을 제출했다.

이 로봇은 아이스박스처럼 생긴 상자에 바퀴가 6개 달려 있으며, 차도가 아니라 보도를 따라 최대 시속 6km의 느린 속도로 보행자들과 함께 섞여 다닐 수 있다. 근처 식료품점이나 가게 등에서 이 지역 소비자에게 물건을 배달할 때 쓸 수 있다는 것이 업체의 설명이다. 이 로봇은 또 평소에는 지도를 이용해 자율 주행이 되지만, 만약 문제가 생기면 사람이 리모트 컨트롤로 조종할 수도 있다.

이 업체는 한 차례 배달에 1∼3 달러(1200∼3500 원)를 수수료로 받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체 시의원은 23일(현지시간) 이 로봇에 3 페이지짜리 조례안을 담아 냐샤 스미스 시의회 사무국장의 사무실로 보냈으며, 로봇이 실내로 들어간 후에는 스타십 테크놀로지스 직원이 비디오 게임 컨트롤러를 가지고 이를 조종해 시의회 사무국 직원에게 전달했다.

이 모습을 지켜본 체 시의원은 “로봇 배달입니다!”라고 외쳤으며, 스미스 사무국장은 제출된 조례안을 검토한 후 접수 확인 도장을 찍었다.

스타십 테크놀로지스는 에스토니아와 영국 런던에 개발팀을 둔 로봇 제작 업체로, 스카이프 공동창립자인 아티 헤인라와 야누스 프리이스가 설립했다. 이 회사의 최고운영책임자(COO) 알란 마르틴손은 이 로봇이 지난달부터 영국 런던과 에스토니아 탈린의 일부 지역에서 이미 운행 중이며 미국 남부와 서해안 지역의 일부 도시들에서 4∼5월부터 운행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앞서, 미국 피자업체 도미노의 호주법인은 음식을 배달할 수 있는 자율주행 로봇 ‘드루’(Domino’s Robotic UnitㆍDRU)를 공개했다. 도미노 측은 호주 브리즈번에서 열린 특별행사에서 4륜 주행 로봇 드루를 시험 운행하는 과정을 선보였다. 드루는 위성위치확인시스템(GPS)을 장착했고, 장애물 감지 센서가 달려 있어 안전한 운행을 할 수 있다.

드루는 자전거 도로나 인도에서 최대 시속 약 20km로 주행할 수 있다. 따뜻한 피자와 차가운 음료를 각각의 보관함에 담아 온도를 유지하는 기능이 있다. 한 번에 배달 가능한 피자는 10판이다. 드루가 배달 장소에 도착하면 고객은 휴대폰에 전송된 보안코드를 통해 피자를 수령한다.

/hanimomo@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