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도시개발사업 ‘우등생’ 경기도…전국의 30% 차지
[헤럴드경제=박준규 기자] 2000년 이후 지난해 말까지 전국에서 도시개발구역 388곳이 지정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가운데 30% 가량인 108곳이 경기도에 분포해 서울 주변에서 사업이 가장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국토교통부는 24일 지난해 말 기준 전국 도시개발구역 현황 통계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도시개발법이 시행된 2000년 7월 이후 지난해까지 388개의 도시개발구역이 설정됐다. 총 면적은 1억3800만㎡으로 여의도 면적(290만㎡)의 47배에 달한다.

이 가운데 이미 사업을 매듭진 구역은 136개이고, 30곳은 구역에서 해제됐다.

도시개발사업은 기존에 도심지로 형성되지 않았던 지역을 신시가지로 개발하는 사업이다. 아파트 단지로 재단장하거나 상업지구, 산업지구로 조성할 수도 있다. SH 등 지방공사와 민간 시행사들도 사업주체로 참여한다.

이미 주택과 도로 등 도시기반이 형성됐으나 노후한 지역을 다시 정비하는 재개발ㆍ재건축 사업과는 취지와 방식이 약간 다르다.

연도별 추이를 보면 2004년부터 2007년 사이 해마다 30개 정도씩 지정됐다. 글로벌 금융위기가 불거진 2008년 55개로 정점을 찍고 하락세로 접어들어 2011년엔 13곳으로 줄었다. 부동산 경기가 악화되면서 시행자들이 대규모 개발사업에 쉽게 뛰어들지 못한 탓이다. 그러다 2012년엔 25곳으로 늘어났고 2013년 33곳, 2014년 18곳, 2015년 25곳이 신규 지정됐다.

도시개발구역이 가장 많은 광역지자체는 경기도다. 전국 388곳 중 108개 구역이 경기도 내에 퍼져있다. 작년에 추가된 25개 구역 중에서도 가장 많은 7곳(김포ㆍ파주ㆍ포천ㆍ광명ㆍ안성ㆍ여주 등)이 경기도의 몫이었다.

서울에선 현재 10곳이 도시개발구역으로 지정돼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지난 2007년 구역으로 지정된 송파구 문정지구와 강서구 마곡지구, 사업 시행방식을 두고 서울시와 강남구가 갈등을 빚었던 강남구 구룡마을구역(2012년 지구 지정)이 대표적이다.

특히 2010년 지구로 지정된 이후 ‘단군이래 최대 프로젝트’라는 수식어로 늘 따라다녔던 용산국제업무구역도 도시개발사업으로 추진됐으나 진통 끝에 2013년 구역지정이 해제됐다.

2012년 11월 양천구 신정동 갈산구역(신정7동 171-61번지 일원)이 지정된 것을 끝으로 서울에서 추가 지정이 없는 상태다.

국토부에 따르면 도시지역내 거주하는 인구가 전체의 91.6%에 달하지만 이용 가능한 도시적 용지는 7.3%(7358㎢)에 그친다. 국토부 관계자는 “부족한 도시용지를 공급하는데 있어 도시개발사업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전국의 도시개발구역 자세한 현황은 국토교통부 홈페이지(http://www.molit.go.kr)나 국토교통통계누리(https://stat.molit.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nyang@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