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與는 ‘무조건 버티기’, 野는 ‘안되면 사퇴’…계파싸움에 대처하는 그들의 자세
[헤럴드경제=이형석 기자]여당은 ‘무조건 버티기’다. 야당은 ‘안되면 사퇴’다. 각 당의 공천과정과 계파다툼에서 드러난 여야의 엇갈린 대처방식이다. 원칙이 없으니 절차는 무너지고 남는 것은 개인의 결단들이다. 여당에선 ‘버티는 게 이기는 것’이라는 분위기가 만연하다. 집권 여당인만큼 어쨌든 이 당에서 살아남아야 한다는 의지가 수모와 모욕, 분란의 고통을 앞섰기 때문이다. 야당은 극단적인 벼랑끝 전술이 남발됐다. 여기서 죽으나 나가서 죽으나 ‘잃을 게 없다’는 태도다. 

새누리당을 보자. 김무성 대표는 ‘견디기’로 일관했고, 이한구 공천관리위원장은 흔들림이 없었다. 김무성 대표는 살생부 파문과 여론조사문건 유출, 윤상현 의원 막말통화 녹취록 논란에도 사과 한번과 계속된 침묵으로 방어했다. 리더십을 상실했다는 당 안팎 여론과 친박계 주도 공천에 대한 비박계의 비등한 반발에도 반응을 전혀 하지 않았다. 유승민 의원의 공천 여부를 두고서는 모두가 치킨 게임을 벌였다. ‘누가 더 오래 참나’ 내기 같았다. 김 대표와 최고위원회는 손을 놨고, 공관위는 아무 결정도 하지 않았으며, 유승민 의원은 당내 두 기구의 결정만 기다렸다. 최종 시한인 23일 오전까지 최고위와 공관위, 유승민 의원측은 무엇도 확언하지 않았다. 최고위는 “공관위에서 먼저 결정하라”고 했고, 이한구 위원장과 친박계는 “(유 의원) 스스로 결정하라”고 미뤘으며, 유승민 의원측은 당의 결정이 먼저라는 태도였다. 

[일러스트=박지영]

야권은 걸핏하면 ‘사퇴’였다. 맘에 안들면 상대의 사퇴를 요구했고, 내 맘대로 안 되면 내가 사퇴한다고 했다. 시작은 안철수 의원의 새정치민주연합(더불어민주당) 탈당부터 시작됐다. 당시 문재인 대표의 사퇴를 요구했다. 이것이 받아들여지지 않자 자신이 탈당했다. 안 의원의 탈당 후 문 전 대표가 사퇴했고, 김종인 선거대책위원장 겸 비상대책위원회 대표가 취임했다. 비례대표 공천안을 두고서는 김종인 대표와 비상대책위원, 중앙위원회간 갈등이 불거졌다. 김종인 대표가 당무 거부와 칩거에 들어갔다. 사퇴설이 나왔다. 김 대표는 22일 오후 비대위에 복귀했지만 23일 오전까지 사퇴 여부를 결정짓지 않았다. 22일 심야에는 김 대표의 사퇴를 만류하기 위해 비대위원들이 자택까지 찾아갔고, 비대위원들도 책임을 지고 사퇴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야권에서 국민의당도 마찬가지였다. 야권통합과 연대를 주장하던 김한길 선거대책위원장이 ‘야당 연대 불가’를 고집하는 안철수 대표와의 노선 갈등 끝에 사퇴했다.

suk@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