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종합)더치트 대표 “경찰청이 사업영역 침범했다”…경찰 “법규 상 더치트와 제휴는 어려워”
[헤럴드경제=원호연기자]인터넷 사기 계좌정보를 검색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더치트의 김화랑 대표가 “경찰청에 더치트의서비스 API와 동일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시작했다”고 비판했다. 공공기관인 경찰청이 스타트업이 제공하는 서비스 영역을 침범했다는 것. 김 대표는 “지난해 경찰청에 협력을 요청했지만 답변을 듣지 못했다”고도 했다.

김 대표는 22일 자신의 SNS에 글을 올려 “지난 17일 경찰청 사이트 ‘청장과의 대화’ 코너에 더치트의 협력을 제안하는 글을 등록하고 답변을 기다리고 있다”며 “그러나 22일 사기정보 조회 API를 경찰청이 제공하기 시작했다”고 밝혔다. 


앞서 경찰청은 인터넷 포털과의 제휴를 통해 인터넷 사기 관련 검색어를 입력하면 경찰청 관련 메뉴로 연결되도록 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 대표는 “지난 2015년 사이버 안전국과의 회의에서 경찰청이 더치트와 동일한 형태의 API를 제공하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 했지만 일이 이렇게 됐다“며 경찰청을 비판했다.

그는 ”이로써 경찰청은 더치트가 제공하는 웹 위젯 모바일 앱, API 제휴모델까지 모두 동일한 구성을 갖췄다“며 더치트의 사업 영역과 중복되는 서비스를 경찰이 제공한데 대해 유감을 표시했다.

김 대표는 ”경찰청의 공식적인 답변이 오면 공유하겠다“고 전하기도 했다.

김 대표는 헤럴드경제와의 전화통화에서 “경찰청의 제휴로 더치트로 유입되던 인터넷 사기 관련 정보의 흐름이 경찰청으로 옮겨졌고 더치트의 사업에 심각한 지장을 초래했다”며 “경찰청은 우리의 제휴 요청에 대해서는 공식적인 입장을 밝히지 않았다”고 전했다.

이에 대해 경찰청 관계자는 “경찰청이 제공하는 정보는 3회이상 신고가 들어와 공식 인정된 정보지만 더치트의 정보는 사용자들이 신고한 내용이라 정보의 신뢰성 문제가 있을수 있고 개인정보보호법 상 개인정보를 공개할 수 없어 업무제휴는 어렵다”고 밝혔다.

why37@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