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지식재산서비스업, 일반 서비스업에 비해 확연한 ‘고부가가치 산업’ 확인
- 산업특수분류 기반 2015년 지식재산서비스산업 현황 조사 결과


[헤럴드 경제(대전)=이권형 기자] 특허청(청장 최동규)은 2015년 지식재산서비스 실태조사 결과, 지식재산서비스 기업당 매출액은 일반서비스업 보다 83% 높고, 직원 1인당 매출액도 6.5%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고 17일 밝혔다.

특허청과 한국지식재산서비스협회(회장 백만기)가 한국저작권위원회(위원장 오승종)의 협조 하에 2014년도에 제정ㆍ승인된 지식재산서비스산업 특수분류를 기반으로 실시한 실태조사 결과다.

2014년도 지식재산서비스 사업 매출액은 총 4조 8556억원으로 추정되며, 이중 산업재산권 관련 매출액은 약 1조 7913억원, 저작권 관련 매출액은 약 3조 642억원으로 조사됐다. 이는 통계청(2014년 기준)이 발표한 일반 서비스업의 매출액 1478조원의 0.3% 정도이나, 기업당 평균 매출액은 9억 9438만원으로 일반 서비스업 사업체당 매출액 5억 4400만원과 비교해보면 83% 높아 상대적으로 부가가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특수분류에 따라 구분하면 지식재산 유통업의 매출 비중이 41.5%로 가장 높았으며, 지식재산 정보서비스업(30.4%), 지식재산 법률대리업(15.0%), 지식재산 창출 지원 및 출판, 시설 운영업(7.4%) 순이었으나, 이를 기업당 평균 매출액으로 보면 지식재산 금융ㆍ보험업이 55억9000만원으로 가장 높았고, 지식재산 유통업(53억3000만원), 지식재산 법률대리업(7억9000만원), 지식재산 정보서비스업(7억4000만원) 순이였다.

지식재산서비스 업무를 수행하고 있는 인력은 총 3만3000명으로, 지식재산서비스 기업 당 평균 6.8명의 인력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 되었는데, 이는 통계청(2014년 기준)이 조사한 일반 서비스업의 종사자수 1067만명의 0.3%정도이나, 1인당 매출액은 1억4700만원으로 일반 서비스업 1인당 매출액 1억3800만원보다 6.5% 높아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밝혀졌다.

지식재산서비스 업무 수행 인력을 산업특수분류에 따라 구분하면, 지식재산 정보 서비스업 분야가 31.5%로 가장 높았고, 지식재산 유통업(26.0%), 지식재산 법률대리업(21.7%), 지식재산 창출지원 및 출판, 시설 운영업(9.3%) 순이었다. 이를 지식재산 서비스 업무 수행 인력당 평균 매출액으로 보면 지식재산 유통업이 2억3000만원으로 가장 높았고, 지식재산 정보 서비스업(1억4000만원), 지식재산 창출 지원 및 출판, 시설 운영업(1억2000만원), 지식재산 법률대리업(1억원), 지식재산 컨설팅ㆍ교육 및 홍보업(1억원) 순으로 나타났다.

향후, 지식재산서비스 기업의 매출이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이라고 예측한 기업은 35.5%인 반면, 매출이 감소될 것이라고 예측한 기업은 13.0%에 불과해, 많은 기업들이 매출 증가를 전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기업들이 앞으로 지식재산서비스 시장 성장을 위해서는 기업에 대한 정부의 투자지원(57.9%), 전문인력 양성 및 고용지원(36.8%), 사업 대가 현실화 및 적정 수익성 보장(31.0%) 등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kwonhl@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